"북극해양이 미세플라스틱 축적지"…전 지구적 순환 관련성 규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6월 수상자'로 김승규 인천대 해양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김 교수는 해양미세플라스틱 교란 효과 예측과 문제해결을 위해 육상-연안-대양-극지방을 아우르는 지구적 규모의 플라스틱 순환·이동·축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북극 해양이 미세플라스틱의 중요한 축적지임을 정량적으로 밝혀낸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해양미세플라스틱이 북극해 축적..지속적으로 증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6월 수상자'로 김승규 인천대 해양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김 교수는 해양미세플라스틱 교란 효과 예측과 문제해결을 위해 육상-연안-대양-극지방을 아우르는 지구적 규모의 플라스틱 순환·이동·축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북극 해양이 미세플라스틱의 중요한 축적지임을 정량적으로 밝혀낸 공로를 인정받았다.
해양미세플라스틱은 온실기체 배출과 물질순환 교란, 해양의 용존산소 감소 등 지구시스템의 모든 영역에서 교란을 야기한다. 김 교수는 국내 유일의 쇄빙연구선인 아라온호를 이용한 서북극해 탐사와 세계적 차원의 해양 플라스틱 물질수지 계산을 통해 과거 현존량 추산에서 누락됐던 해양 미세플라스틱의 상당량이 북극해에 축적돼 있음을 확인했다. 아울러 여름철 녹지 않고 남아 있는 서북극해 바다얼음이 물리적 장벽으로 작용해 미세플라스틱이 바다얼음 후퇴선 근처에 축적돼 있다는 점을 알아냈다. 해양 퇴적물층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은 매년 3% 속도로 증가해 서북극해로 유입돼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과 비례해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이 연구결과는 2023년 7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에 게재됐다. 수상자에는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원이 수여된다.
김승규 교수는 "지금 당장 플라스틱 해양 배출을 극적으로 줄여도 미세플라스틱 오염도는 향후 수십 년에 걸쳐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플라스틱 사용과 배출 저감 노력이 시급하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정책 수립에 필요한 과학적 자료들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푸바오, 너무 보고 싶었어"…중국 반환 2개월만에 대중에 공개
- "아파트 20층 사는데 소름, 4D 영화관 온 줄"…충북서도 지진 흔들림 신고
- 교통사고로 쓰러진 10대 주짓수 꿈나무, 장기기증으로 생명 살려
- "하룻밤 만에 이혼하기도"…평생 53번 결혼한 남성, 왜?
- ‘에코백’ 든 김건희 여사, 온라인 이틀째 ‘시끌’…네티즌들 반응 보니
- [트럼프 2기 시동]트럼프 파격 인사… 뉴스앵커 국방장관, 머스크 정부효율위 수장
- 거세지는 ‘얼죽신’ 돌풍… 서울 신축 품귀현상 심화
- 흘러내리는 은행 예·적금 금리… `리딩뱅크`도 가세
- 미국서 자리 굳힌 SK바이오팜, `뇌전증약` 아시아 공략 채비 마쳤다
- 한화, 군함 앞세워 세계 최대 `美 방산시장`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