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SON의 슬기로운 재활치료] 손저림의 또 다른 원인 ‘척골신경증후군’…원인과 예방‧치료법은?
팔꿈치를 의자 모서리 같은 곳에 잘못 부딪혀 팔이 찌릿하며 아팠던 경험을 누구나 한 번쯤은 하게 된다. 팔꿈치를 지나가는 신경 중 하나인 ‘척골신경’이 자극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척골신경은 자극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많은 문제가 일어난다. 그중에 가장 흔하면서도 일상생활을 무척 불편하게 만드는 것이 손 저림이다. 갑자기 손이 저리기 시작하면 의심해 봐야 할 질환 중 하나가 ‘척골신경증후군’이다.
손 저림은 손을 많이 사용해 업무나 운동을 하는 현대인에게서 자주 나타난다. 동시에 수면과 휴식도 방해할 수 있는 매우 불편한 증상이다. 손 저림을 일으키는 여러 질환 중 하나인 ‘손목터널증후군’을 이전 칼럼 중에서 다룬 바 있다. 이와 비슷한 증상이면서도 다른 질환이 ‘척골신경증후군’이다.
척골신경은 팔과 손을 담당하는 여러 신경 중 한 가지다. 아래팔을 이루는 두 개의 뼈(요골과 척골) 중 안쪽 혹은 새끼손가락 쪽에 위치한 척골을 따라 내려가는 신경을 말한다. 기능은 크게 두 가지다. 아래팔과 손의 안쪽(새끼손가락 쪽)의 감각 기능, 그리고 손과 손가락의 운동 기능을 담당한다. 따라서 척골신경에 문제가 생기면 아래팔과 손의 새끼손가락 쪽이 저리거나, 손가락 힘이 빠지는 증상들이 나타난다. 오래 지속된 경우나 심한 경우에는 손과 손가락의 근력이 크게 떨어지고 근육의 위축이 생기기도 한다.
척골신경은 팔꿈치 안쪽에 뼈가 튀어나온 부분(내상과) 옆 움푹 들어간 곳의 작은 터널과 같은 구조를 지나간다. 그 과정에서 신경이 잘 눌리게 된다. 척골신경의 이 팔꿈치 부분은 뼈가
튀어나온 부분에 걸쳐져 있고, 좁은 곳을 지나가며, 주변에 신경을 보호해줄 연부 조직이 적기 때문에 팔을 굽히고 있거나 부딪히는 것만으로 자극이 될 정도로 취약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척골신경증후군이 팔꿈치에서 발생한 경우는 팔꿈치터널증후군(주관증후군)이라 부르기도 한다. 팔꿈치가 아닌 손목의 새끼손가락 측에서 눌리는 경우들도 있다. 이는 척골관증후군(가이욘관증후군)이라 불리며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밤잠을 깨우는 손 저림
척골신경 손상은 대개 팔꿈치를 굽혔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거나, 오랜 시간 팔꿈치를 굽힌 채로 있을 때 쉽게 일어난다. 요식업, 공예나 악기 연주와 같은 예술계 종사자, 목수 등 팔을 많이 쓰는 일을 하거나, 테니스나 야구와 같이 팔꿈치를 많이 쓰는 스포츠에서도 문제가 될 수 있다.
팔 굽혀 펴기, 웨이트 등 상체 근력 운동을 매일 하거나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운전대를 오래 잡는 것, 통화를 길게 하는 것도 원인이 된다. 모두 팔을 구부린 채로 해야 하는 동작들이기 때문이다. 쉬면서도 턱을 괴고 있을 때, 팔베개를 하고 누워있을 때, 팔을 구부려 손을 가슴에 얹고 누워있을 때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래서 밤에 자다가 손이 저려서 깨는 경우들도 있다.
그 외의 원인으로는 관절염, 골절 등 외상 합병증, 당뇨, 낭종(물혹)과 같은 구조적인 문제 등도 있다.
팔꿈치터널증후군의 치료는 생활습관 교정 및 예방으로 시작하고, 약물치료, 주사치료, 물리치료 등을 실시한다. 증상이 오래 진행한 경우나 비수술 치료로 조절이 안 될 때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치료이자 예방책은 증상 초기에 자세, 습관을 교정하는 것이다. 초기에 관리하면
잘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팔을 많이 구부리고 있는 자세나 굽혔다 폈다를 반복하는 동작이 불가피한 경우는 중간 중간 휴식과 스트레칭을 실시한다. 컴퓨터나 휴대폰을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는 팔꿈치를 되도록 편 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자세를 조정한다. 운전대를 장시간 잡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