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툭 하면 터지는 우리은행 횡령사고, 금융감독 당국은 뭐했나

2024. 6. 11. 18: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은행 경남 김해지점에서 대리급 직원이 고객대출금 100억원을 횡령한 사고가 발생했다.

조사 결과 기업대출을 담당하는 직원 A씨는 올해 초부터 최근까지 대출 신청서와 입금 관련 서류를 위조하는 방식으로 대출금을 빼돌렸다.

우리은행은 2년 전 차장급 직원에 의한 700억대 횡령 사고 이후 지정 감사 및 시재 점검을 강화하는 동시에 내부통제 혁신방안도 내놨지만 금융사고 불명예를 또 안게 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은행 본점 건물. 사진=우리은행

우리은행 경남 김해지점에서 대리급 직원이 고객대출금 100억원을 횡령한 사고가 발생했다. 조사 결과 기업대출을 담당하는 직원 A씨는 올해 초부터 최근까지 대출 신청서와 입금 관련 서류를 위조하는 방식으로 대출금을 빼돌렸다. 빼돌린 돈은 암호화폐 등에 투자해 60억원의 손실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지난 10일 경찰에 자수했다. 은행권에서는 전결권이 없는 대리급의 범행이라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기업 대출 결재 권한은 지점장이 가지고 있어 대리급에게 권한이 넘어가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우리은행은 특별검사팀을 해당 지점에 급파했다. 금융감독원은 12일부터 현장검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하지만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다.

사건 전모를 보면 내부 통제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았다고 봐도 무방하다. 우리은행은 2년 전 차장급 직원에 의한 700억대 횡령 사고 이후 지정 감사 및 시재 점검을 강화하는 동시에 내부통제 혁신방안도 내놨지만 금융사고 불명예를 또 안게 됐다. 지난해 3월 취임한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이나 지난해 7월 은행장 자리에 앉은 조병규 은행장 모두 입을 모아 빈틈없는 내부통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해지만 '허점'은 여실히 드러났다. 대한민국 유수의 은행이 이토록 허술하다니 믿기지 않는다. 툭하면 사고가 터지는 이런 은행을 어떻게 믿고 고객들이 돈을 맡길 수 있겠는가. 직원들의 비위 사건이 계속된다면 소비자들의 신뢰 자체가 뿌리째 흔들릴 수 있다.

금융당국의 책임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횡령사고가 터질 때마다 금융당국은 은행 내부통제 혁신안을 내놓았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를 보면 우리은행 못지않게 금융감독 당국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 금융감독 당국은 그동안 뭘 했나를 먼저 자성해야 할 것이다. 대오각성하고 감독·감시 기능이 왜 이렇게 무기력했는지 철저히 조사해 관련자들에겐 책임을 물어야 한다. 제도 탓이라면 제도 정비를 서두르고, 처벌도 대폭 강화해서 다시는 어이없는 횡령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