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증원 파장] "집단휴진은 기득권 사수"…경실련, 의협·서울의대 교수 비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의사 집단 휴진 예고에 "기득권을 지키려는 의도"라며 엄정 대응을 촉구했다.
경실련은 10일 성명서를 내고 "정부가 전공의 행정처분을 중단해 의정 대치 국면을 수습하고 의료개혁의 속도를 내려는 시점에 가장 먼저 반기를 든 상대가 국립대 교수라는 점에 국민의 실망과 분노는 크다"며 "대한의사협회(의협)도 전공의 보호를 내세우며 서울대 움직임에 가세했지만 의사 기득권을 사수하려는 검은 속내를 모르는 국민은 없다"고 주장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의협 18일·교수들 17일 집단 휴진 예고
[더팩트ㅣ조소현 기자]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의사 집단 휴진 예고에 "기득권을 지키려는 의도"라며 엄정 대응을 촉구했다.
경실련은 10일 성명서를 내고 "정부가 전공의 행정처분을 중단해 의정 대치 국면을 수습하고 의료개혁의 속도를 내려는 시점에 가장 먼저 반기를 든 상대가 국립대 교수라는 점에 국민의 실망과 분노는 크다"며 "대한의사협회(의협)도 전공의 보호를 내세우며 서울대 움직임에 가세했지만 의사 기득권을 사수하려는 검은 속내를 모르는 국민은 없다"고 주장했다.
경실련은 "정부가 전공의 복귀 시 불이익을 주지 않겠다며 사실상 면죄부를 준 것은 의정 대치 국면을 조속히 수습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이해된다"며 "의료계도 완화 조치를 수용하고 의료개혁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하는데 선배 교수들이 불법행위를 강행하는 형국"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환자 안전을 위협하는 의사의 불법 진료 거부는 정당화될 수 없으며 즉각 철회돼야 한다"며 "정부는 의사들의 진료 거부가 자신의 이익보호를 위한 핵심수단으로 유효하게 놔둬서는 안 되며, 집단행동 가담자에게 법과 원칙이 적용되도록 조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의협은 전날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전국의사대표자대회를 열고 오는 18일 집단 휴진 방식의 총파업을 벌이겠다고 발표했다. 임현택 의협 회장은 "전국 14만 의사 회원과 2만 의대생들은 더이상의 인내를 중단하고 작금의 의료농단을 전 의료계의 비상사태로 선포하며 의료 정상화를 위한 강력한 대정부 투쟁을 벌여나갈 것을 엄숙히 선언한다"고 했다.
의협이 지난 4~7일 전체 회원 13만명을 대상으로 총파업 찬반 투표를 진행한 결과, '6월 중 계획한 휴진을 포함하는 단체행동에 참여할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 투표자 7만800명 중 5만2015명(73.5%)이 찬성했다. 반대는 1만8785명(26.5%)으로 집계됐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도 지난 6일 전체 교수 총회와 설문 결과를 종합해 필수 진료과목을 제외한 전체 휴진을 결의했다. 서울의대 교수협 비대위는 오는 17일부터 필수 부서를 제외하고 집단 휴진에 들어갈 방침이다.
sohyun@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지율 빨간불' 尹 대통령, 개각 카드로 반등 노린다
- [강일홍의 클로즈업] 가수 진해성의 '생일파티 고액 후원금' 의혹 '논란'
- 간호사 1인당 환자수 미국 3배 이상…환자도 위험하다
- [의대증원 파장] 의협, 18일 전면휴진…"증원 중단해야 멈춰"
- 카카오 김범수, 케이큐브홀딩스 배당금 활용처에 쏠리는 '눈'
- 대통령실 "평화, 돈으로 구걸하는 게 아니라 힘으로 쟁취하는 것"
- 한동훈 "형사피고인, 집유만 확정돼도 대통령직 상실" 이재명 직격
- '지구마불2', 김태호X김훈범 PD가 이뤄낸 일석사조 성과[TF인터뷰]
- [슈퍼에스파노바①]"나는 나만이 정의"하게 되는 특별한 공간
- [ESG가 미래다⑦] 금융권 ESG 향한 발걸음…지속가능한 미래 만드는 원동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