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view] 글로벌 생성 AI 4위 라이너 김진우 공동 대표 | “전 세계 대학생·연구원에게 ‘챗GPT’보다 사랑받고 싶어”

이경탁 조선비즈 기자 2024. 6. 10. 11: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라이너 전 세계 사용자 분포 지도. 사진 라이너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직접 고군분투하며 출시한 ‘라이너’의 정체성은 처음부터 글로벌 서비스였습니다.”

김진우(33) 라이너 대표는 최근 서울 마포구 사무실에서 만난 자리에서 “라이너는 전세계 대학생·대학원생·연구원을 대상으로 하는 생성 AI(Generative AI) 서비스로, 이들에게 챗GPT보다 많은 사랑을 받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라이너는 2015년 연세대 컴퓨터과학과에 재학 중이던 김진우·우찬민 대표가 공동 창업한 AI 스타트업이다. 김 대표는 “빌 게이츠는 어릴 적부터 존경한 인생의 롤 모델”이라며 “그 영향을 받아 대학생 시절 인사이더스라는 창업 동아리를 만들어 활동했고, 실제 창업으로 이어지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렵고 힘든 상황도 물론 있었지만, 그때마다 함께했던 의미 있는 사람들과 공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이겨낼 수 있었다”고 했다.

라이너는 창업 초기 인터넷 페이지와 PDF 파일의 텍스트에 형광펜을 칠하고, 코멘트(메모)를 남겨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웹 하이라이트’를 개발했다. 2017년 2월에는 미국에 법인을 설립하고 본격적으로 북미 시장 공략에 나섰다. 웹 하이라이트는 마케팅을 전혀 하지 않았지만 출시 하루 만에 500명이 다운로드했다. 그렇게 4년간 꾸준히 웹 하이라이트 서비스 고도화에 집중했고, 전 세계 150개 국가에서 사용자를 확보했다. 김 대표는 “인터넷에는 거짓이나 불필요한 정보가 존재하는데, 라이너가 웹 하이라이트로 축적한 양질의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하면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사람들이 어떤 정보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 검색 결과에 반영할 수 있다면, ‘구글보다 더 나은 검색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는 확신이 있었다” 고 말했다.

김진우 라이너 공동 대표 연세대 컴퓨터과학 학·석·박사 사진 라이너

웹 하이라이트로 축적한 DB, 생성 AI로 발전

김 대표는 2022년 11월 오픈AI의 챗GPT로 AI 열풍이 불자 지난해 2월 챗GPT 같은 대화형 AI 검색 서비스 라이너를 개발했다. 다른 생성 AI보다 신뢰도 높은 정보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깨달은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이용했고, 다양한 커뮤니티에서 입소문을 탔다.

김 대표는 “라이너는 웹 하이라이트 서비스를 통해 축적한 전 세계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GPT 4, 앤트로픽 클로드, 미스트랄 등 유명 거대 언어 모델(LLM)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튜닝해 개발했다”며 “사용자의 모든 질문을 출처에 기반해 답변하고, 답변에 인용된 정보 페이지 링크와 주요 문구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챗GPT의 경우 답변은 잘하지만, 출처 정보가 부정확하고 제한돼 있어 전문적인 자료 조사에 한계가 있다”면서 “라이너는 대학생과 연구원의 자료 조사에 특화한 AI 서비스를 내세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라이너는 대학생을 포함해 깊이 있는 정보 탐색이 필요한 대학원생, 연구원 등의 사용자 증가에 힘입어 최근 벤처캐피털 앤드리슨호로비츠가 발표한 글로벌 생성 AI 서비스 사용량 순위에서 4위를 차지했다. 오픈AI 챗GPT, 구글 제미나이, 캐릭터닷AI 다음으로, 50위 안에 들어간 한국 서비스는 라이너가 유일하다. 김 대표는 “지난해 라이너의 월간 최대 방문자는 약 1050만 명이었고, 올 1월 기준 페이지뷰(PV)는 6500만 회 이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2018년 포브스가 선정한 ‘아시아 30세 이하 리더 30인’에들어갔고, 라이너도 지난해 8월 포브스 ‘아시아 100대 유망 기업’에 선정됐다.

네이버가 개발해 지난해 공개한 생성 AI서비스 클로바X보다 먼저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한 비결은 초기부터 철저히 북미 시장을 고려해 대학생, 연구원 등 특정 계층을 타깃으로 한 서비스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현재 유료 프리미엄 구독 서비스 가격은 월 기준 35.99달러(약 5만원)이며, 일부 기능이 제한된 무료 버전도 제공한다.

김 대표는 “현재 라이너 사용자 중 95%가 해외에 있으며, 특히 미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다”며 “AI 서비스의 경우 미국 시장에서 성공하면 전 세계 어떤 국가에서도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글로벌 생성 AI 순위가 발표된 후 한국에서도 관심이 늘어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사용자 수를 나타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누적 투자 유치 170억원 돌파

라이너는 북미 시장에 주력하는 만큼 김 대표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법인과 한국 본사를 1~2주 간격으로 왕래하고 있다. 투자 유치도 순항 중이다. 현재까지 라이너의 누적 투자 유치 금액은 170억원이다. 올해 시리즈C 펀딩을 계획하고 있으며, 최소 100억원 이상의 글로벌 투자 유치를 목표로 잡았다. 시리즈C란 시리즈B 단계를 지난 스타트업이 사업을 확장하면서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성장을 가속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김 대표는 “한국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는 전 국민이 다 쓴다고 해도 5000만 명이 한계인데, 라이너는 전 세계 주요 국가와 도시에 사용자가 있는 만큼 투자자들이 서비스 잠재력을 높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라이너는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더라도 당장 IPO(기업공개)보다는 AI 서비스 수준을 높이고 고급 개발자를 채용하는 등 내실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대표는 “생성 AI의 기반이 되는 LLM은 어떤 데이터를 학습하느냐에 따라 잘하는 영역이 결정되는 만큼 향후 자체 LLM을 개발한다는 구상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다수 토종 생성 AI 서비스가 공공 서비스에 의존하려는 경향이 큰데, 라이너는 앞으로 전 세계 2억5000만 명의 대학생이 과제 조사 등을 위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글로벌 서비스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현재 라이너에는 40여 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이 중 60%가 개발자다. 직원 채용 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요소는 라이너가 추구하는 핵심 가치 및 문화와 잘 부합하는지다. 김 대표는 “우리는 모호한 상황에서도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내고 빠르게 실행해 실패 비용은 줄이고 학습은 극대화하는 것을 추구한다”며 “지금보다 10배, 100배 더 나아질 수 있는 급진적인 해답을 찾고, 담대한 목표를 추구한다면 그 과정에서 넘어지더라도 그간 얻은 성공이 절대 작지 않을 것으로 믿는다”라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미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임톡beta

해당 기사의 타임톡 서비스는
언론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