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도 97% "미래세대 부담 키우는 전국민 지원금 반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원 구성 갈등을 놓고 22대 국회가 초반부터 파행하는 가운데 서울대 경제학도 99%가 "포퓰리즘 정치가 경제를 해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학생 97%는 야당이 전 국민 민생회복지원금을 비롯해 현금성 지원정책을 펴는 것에 대해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A학생은 "현재 정책 입안 행태가 눈앞의 권력을 유지하는 데 경도됐다"며 "경제적 파급 결과를 알면서도 민생지원금 같은 정책을 입안했다는 것은 포퓰리즘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방증"이라고 꼬집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野 35만원 지역화폐 지급에
"물가 악화 … 포퓰리즘 심각"
64% "韓 경제 기적 끝났다"
첨단산업 등 생존전략 주문
원 구성 갈등을 놓고 22대 국회가 초반부터 파행하는 가운데 서울대 경제학도 99%가 "포퓰리즘 정치가 경제를 해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학생 97%는 야당이 전 국민 민생회복지원금을 비롯해 현금성 지원정책을 펴는 것에 대해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재정건전성이 훼손되고, 물가에 악영향을 주면서 경제 부작용이 더 커진다는 이유에서다.
9일 매일경제가 국내 대표 경제학도인 서울대 경제학부생 13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다수 학생이 거야가 추진 중인 확장 재정정책에 우려감을 표했다. 단발성 인기 영합주의를 경계하면서 중장기 성장동력 발굴에 주력해야 할 때라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이번 조사는 서울대 경제학부 미시금융론 수강생을 대상으로 △포퓰리즘 정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 경제 기적은 끝났다는 견해에 대한 평가 △미·중 패권경쟁 파장 △윤석열 정부 경제정책 평가 등 4개 문항을 주고, 이 중 2개를 골라 에세이를 제출한 뒤 이를 구조화한 설문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가장 많은 학생(93명)이 고른 포퓰리즘 정치 파장 주제에 대해 99%(92명)는 '인기 영합주의 정치가 경제에 해를 끼치고 있다'고 진단했다.
97%는 더불어민주당의 민생회복지원금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재정건전성과 국가 신용등급 악화 우려가 있고(53%), 물가 상승 압력은 강화하는데(55%), 내수 개선 효과는 미미하다(52%·복수 응답)는 점이 주요 이유로 꼽혔다. 최근 민주당은 소득 수준에 따라 25만~35만원의 지역화폐를 주는 민생회복지원금을 1호 당론 법안으로 채택했다.
A학생은 "현재 정책 입안 행태가 눈앞의 권력을 유지하는 데 경도됐다"며 "경제적 파급 결과를 알면서도 민생지원금 같은 정책을 입안했다는 것은 포퓰리즘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방증"이라고 꼬집었다. B학생은 "청년, 저소득 가구에 저리 융자를 해주거나 한계 소비 성향이 비교적 높은 저임금, 저학력, 고연령 가구에 선별적으로 더 많은 금액을 지원하는 게 예산 집행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C학생은 "국가채무가 국내총생산(GDP)의 50%에 육박한 상황에서 재정 지출 부담은 미래 세대에 전가된다"고 전했다.
다만 또 다른 여야 쟁점 현안인 금융투자소득세에 대해서는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54%)이 폐지해야 한다는 견해(38%)보다 많았다. 금투세가 필요하다고 본 이유로는 세제 폐지 시 부자 감세 논란이 커진다(68%)는 반응이 많았다. 금투세 폐지에 찬성하는 이유로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요인이 될 수 있다(74%)는 답이 많았다.
한국의 종전 성장 공식이 더 이상 먹히지 않게 됐다며,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산업 투자에 박차를 가해 새로운 생존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도 힘을 얻었다. 학생 64%는 "이미 한국 경제 기적은 끝났다"며 "연구개발(R&D) 예산을 확충하고, 기업 간 공정경쟁을 강화해 기술 발전을 촉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포퓰리즘 재정 지출을 삭감해 균형 재정을 이룬 뒤 선진화한 금융시장 질서를 확립하는 데 투자해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향후 한국 경제 발전 방향으로는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첨단산업 투자 강화(26%)와 R&D 예산·기초과학 지원(23%)을 주문하는 의견이 많았다.
미·중 패권경쟁으로 인한 한국 영향으로는 수출 악영향(69%), 글로벌 공급망 단절(16%)을 걱정하는 시각이 강했다. 반면 한국 제품이 반사이익을 볼 것이라는 의견(23%·복수 응답)도 나왔다.
[김정환 기자 / 이희조 기자 / 한상헌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아내 사망후 남편도 죽었다, 보험금 2억 누가 탈까”…이래서 보험수익자 지정 미리미리 [어쩌
- “병원 은행 갈 때 깜빡, 이젠 괜찮아”…은행들 앞다퉈 뛰어든 이 사업 - 매일경제
- 수백억 사기친 ‘김미영 팀장’ 이렇게 잡았다…영화같은 국제공조 수사 [Books] - 매일경제
- “7년만에 방송 보고 연락했지만”…‘트로트 가수’ 현진우, ‘빚투 의혹’ 터져 - 매일경제
- ‘중동 디저트’에 푹 빠진 MZ…유튜브서 난리라는 ‘두바이 초콜릿’ 뭐길래 - 매일경제
- 풍선전쟁 재점화…南대북전단 살포 이틀뒤 北오물풍선 날렸다 - 매일경제
- 女에게 차인 男, 술을 진탕 마시더라…당신 말고 초파리의 세계 [Books] - 매일경제
- “종부세 개편하자·상속세 완화하자”…여야, ‘감세’ 빼들었다 - 매일경제
- 개포 1·4단지 주민들 속탄다…“아니 왜 옆단지보다 금액이 높아?” - 매일경제
- ‘스승’ 故유상철 감독 3주기, ‘제자’ 이강인은 잊지 않았다…“존경하는 스승님, 보고 싶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