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러문항 없애면 교육불평등 해소되나요?” 수학·사회 교사가 ‘콜라보’로 불평등 가르치면

김원진 기자 2024. 6. 9. 14:4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기 의정부 경민고의 ‘불평등’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제공한 활동지. | 김원진 기자

“킬러문항을 없애면 사교육이 줄고 교육격차도 감소할까요?”

경기 의정부 경민고 3학년 정예림 학생이 국회에서 강민정 전 의원을 만나 던진 질문이다. 경민고 학생 23명은 지난달 17일 불평등 수업의 일환으로 국회에 방문했다. “경제적 격차가 어떻게 교육 격차로 이어지고 순환하는지” 궁금했던 정예림 학생은 “학교 내에도 눈에 보이진 않지만 집안 사정에 따라 교육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는 생각을 해보게 됐다”고 했다.

정규 교과 수업시간 외에 학교자율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등을 활용해 ‘불평등’을 가르치는 학교들이 있다. 개념 전달과 문제풀이 중심의 수업을 벗어나 현실과 교과 내용을 접목하려는 시도가 반영됐다. 학생들의 정규 교과 외 학습활동은 대학 진학시 학생부에 기록 사항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경기 의정부 경민고는 학교자율과정을 활용해 사회과 교사와 수학 교사가 협업을 해 지난달 5일간 불평등 수업을 진행했다. 경민고의 학내 학교자율과정은 선착순으로 학생들의 접수를 받았는데 불평등 수업은 30초만에 접수가 마감됐다.

교사들은 불평등과 격차가 보통 소득이나 자산처럼 손에 잡히는 수치의 차이를 통해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점을 반영해 수업을 구성했다. 수학 교사가 별도 활동지를 만들어 불평등 수준을 나타내는 지니계수와 피케티 지수를 가르쳤다. 사회과 교사는 불평등과 관련된 개념 수업을 하고 학생들에게 불평등을 다룬 토마 피케티의 책을 소개했다.

경기 의정부 경민고 사회과 이재일 교사(왼쪽)와 수학과 김지민 교사가 지난달 27일 학생들이 제출한 ‘불평등’ 수업 보고서를 살펴보고 있다. | 김원진 기자

학생들은 현장에서 보고 느끼는 교육 불평등을 가장 많이 언급하면서도 다양한 주제에 관심을 표했다. “코로나19 시기 뉴스에서 부동산이 폭등했다는 소식만 접했던” 최에스더 학생은 “피케티 지수를 배우면서 자산 불평등 문제를 구체적으로 인식하게 됐다”고 했다. 장성혁 학생은 “수업을 듣고 자료를 찾아보다보니 불평등 문제에는 교육격차·정보격차·건강격차 등 여러 종류가 있는데 모두 다 핵심에는 ‘돈’이 있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자유로운 수업 분위기가 조성되니 학생들의 질문도 이어졌다. 한 학생이 “똑같이 불평등을 측정하는 지표인데 (소득) 지니계수는 점차 감소하는 반면 피케티 지수는 왜 늘어나는지” 묻자 이재일 사회과 교사는 “지표나 지수를 구성하는 요소가 달라지면 불평등이라는 같은 주제를 다루더라도 결과값이 달라진다”고 답했다. 주로 소득분배지표로 쓰이는 지니계수는 불평등 수준을 보여주고, 피케티 지수는 소득 대비 자본(자산)의 값을 통해 자산의 상대적 집중도를 드러낸다.

수업과 현장학습, 보고서 작성으로 이어진 강도 높은 활동에도 학생과 교사 모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박성결 학생은 “사교육비 조사 통계를 직접 찾아보고 개념을 접목해 보고서를 써보니 귀로 듣고 끝내는 것보다 훨씬 유익했다”고 했다. 에듀테크 사업으로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게 꿈이라는 한지수 학생은 “통계 수치를 반영해 A4 5장 넘는 긴 글을 써보는 게 처음”이라며 “가족까지 동원해 보고서 목차를 논리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이 쉽지만은 않았다”고 말했다. 김지민 수학 교사는 “불평등 문제와 연결해 통계 수업을 준비하면서 저도 배운 게 많았다”고 했다.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이용해 불평등 수업을 진행한 학교도 있다. 경기 광주중앙고 학생 15명은 지난달 불평등 수업을 들은 뒤 인근 대형마트 등 현장방문을 했고 발표까지 마쳤다. 안준범 광주중앙고 교사는 “체험활동이 흡연예방교육 등에 한정돼 있는 점을 극복하고 싶었다”고 했다. 5차시로 진행된 수업에서 피케티, 마이클 샌델이 쓴 책을 읽은 뒤 대도시-소도시간의 교통인프라 격차, 대형마트-전통시장 간의 경쟁력 격차 등의 주제를 다뤘다. 안 교사는 “성적에 연동돼 있지 않고 강제성이 없다보니 불평등 문제에 관심 있는 학생들만 수업을 신청했다”며 “현장에서 문제를 찾게하고 발표하는 식의 수업을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김원진 기자 oneji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