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쓰레기 처리기’ 시장 1조원대 성장…AS 잘 안돼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에 사는 이아무개(48)씨는 한 달 전 70만원짜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구매했다가 낭패를 봤다.
'한겨레'가 한국소비자원 통계를 살펴보니,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관련 피해구제 접수 건수는 해마다 늘어 2021년~2024년 4월까지 모두 272건이나 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비스센터 없고 인력 부족해 소비자 불만↑
소비자원 접수 사례 중 품질 49%·AS 23%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서울에 사는 이아무개(48)씨는 한 달 전 70만원짜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구매했다가 낭패를 봤다. 단 5회 사용 뒤 고장이 난 탓이다. 이씨는 “고객센터와 통화도 잘 안 돼 울화통이 터졌는데, 본사 쪽에서는 ‘산 지 한 달이 지나 교환·환불은 불가능하고, 에이에스(AS)를 해줄 테니 택배로 보내라’ ‘고객 과실일 경우 수리비를 내야 한다’는 말만 반복했다”며 “요즘 세상에 전자제품 수리를 택배로 하는 것이 말이 되냐. 서비스센터 한 곳조차 운영할 능력도 없이 팔기만 하면 끝이냐”고 말했다.
경기도에 사는 조아무개(40)씨는 싱크대 배수구에 설치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구매했다가 역류가 발생해 곤욕을 치렀다. 조씨는 “설치 뒤 6개월 만에 역류가 발생해 수리했지만, 또다시 역류해 사업자에게 다시 수리를 요구했더니 ‘제품은 정상 작동 중이고 소비자의 사용상 과실로 역류가 발생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더는 수리를 거부했다”며 “이럴 줄 알았으면 절대 설치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호소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구입·임대를 고려하는 사람이 늘고 있지만, 품질과 서비스를 둘러싼 소비자 불만도 높아지고 있다. 소비자들은 “유명 연예인을 쓰며 광고해 판매하면서 소비자 불편은 나 몰라라 한다”고 반발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나뉜다. 음식물을 싱크대 배수구에서 분쇄한 뒤 하수도로 배출하는 ‘습식분쇄형’, 건조해 처리하는 ‘건조분쇄형’, 미생물을 배양해 처리하는 ‘미생물발효형’ 등이다. 국내 보급률은 10% 미만이지만,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구매 금액의 50~70%를 보조금으로 지원하는 사업을 벌이는 등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 추세다. 업계에선 2021년 2천억원 규모에 그쳤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시장이 지난해엔 6천억원 이상으로 커졌고, 올해엔 1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하지만 구매 후 품질 하자가 발견되거나 애프터서비스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소비자 불만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한겨레’가 한국소비자원 통계를 살펴보니,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관련 피해구제 접수 건수는 해마다 늘어 2021년~2024년 4월까지 모두 272건이나 됐다. 지난 2021년엔 57건, 2022년엔 73건, 2023년엔 86건이었고, 올해는 지난 4월까지 벌써 56건의 피해 건수가 접수됐다. 가장 많은 피해 사례는 품질 문제로, 49.3%(134건)를 차지했다. 이어 에이에스 22.8%(62건), 계약해지·위약금 과다 7.7%(21건), 계약불이행 6.6%(18건) 등이 뒤를 이었다.
품질·에이에스 문제가 많이 발생하는 것은 현재 시판 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대부분이 중소기업 제품이다 보니 교환·환불·수리 등을 할 수 있는 여력이 부족한 탓이 크다.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제조사 관계자도 이런 문제를 인정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뿐 아니라 대부분 업체가 서비스센터를 운영할 여력이 없다. 고장이 나면 택배를 통해 본사로 수거해 본사 공장에서 수리해 다시 택배로 보내주다 보니 짧게는 1주일에서 길게는 2주 넘게 걸리기도 한다”고 말했다. 또 “싱크대 설치식의 경우, 수리 기사가 방문하기는 하지만, 인력 부족 탓으로 즉각적인 서비스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 전자업계 관계자는 “해당 분야는 중소기업이 먼저 진출을 한 탓에 (시장) 침해 논란 등이 있을 수 있어 삼성·엘지 등 대기업 진출이 좀 늦은 편”이라며 “엘지전자가 지난해 케이시(KC) 인증을 받고 상품 출시를 준비 중이며, 삼성전자도 지난 2020년에 이미 음식물 처리기 상표권을 출원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단독] 김주현 민정수석 딸, 학부생 때 ‘김앤장 인턴’…공고 없이 채용
- 김여정 “또 삐라와 확성기 도발하면 새 대응 목격할 것”
- 확성기 재개에 접경지 분통…“농사도 장사도 다 망칠 판”
- 최태원 SK 지배력 밑천에 ‘노태우 비자금’ 섞였나
- [단독] ‘디올백’ 참고인 2명, 김 여사 순방 동행…수사 차질 불가피
- 압구정동에도 북한 오물 풍선 떨어졌다 [포토]
- 동해 가스전 분석, ‘법인등록증 몰수’ 회사 골라 맡겼나 [사설]
- 330개 중 80개 착지…서풍 불었는데 왜 오물 풍선 띄웠나
- ‘대통령 임기 단축’ 개헌 최적기…윤석열-이재명 합의만 하면 된다
- 의협 회장, 판사에 “이 여자 제정신이냐”…사진 공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