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 '예측 불가' 기상이변 이어지는데···경상북도가 개발한 재난 시스템은?

김철우 2024. 6. 9. 09: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상이변 현상
최근 몇 년 사이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한 인명 피해가 가파르게 늘고 있습니다.

지난 4월 중국 광둥성 폭우는 100년 만의 심한 폭우로 14명이 사망하고 11만 명이 대피했습니다.

브라질에서도 4일에 걸친 폭우로 154명이 사망하고 이재민 220만 명이 발생했습니다.

기상이변 때문에 최근 들어 자연 재난은 차츰 대형화되면서 예측불가능한 데다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난다는 특징을 보입니다.

우리나라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경북지역의 경우, 재난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2019년 9명, 20년, 21년에는 한 명도 없다가 2022년 11명, 2023년에는 29명으로 늘었습니다.

2022년에는 태풍 힌남노, 2023년에는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로 인한 인명 피해가 컸습니다.

5년간 피해액은 7천5백억 원, 복구 비용은 2조 3천억 원을 넘습니다.

경상북도는 2014년 해수면 온도가 21.7도이던 것이 2023년에는 23.9도로, 10년 동안 2.2도가 상승했으며 이에 따라 최근 재난은 대형화, 예측 불가능,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시간당 강우량이 50밀리미터를 넘은 날은 1970년대 4일이던 것이 1980년, 1990년대에는 8일, 2000년대 10일, 2010년 이후에는 15일로 나타났습니다.

태풍이 한반도를 관통하는 일도 거의 없었지만, 2018년 이후 한 해 한 개에서 세 개까지 관통하고 있습니다.

경상북도 자체 시스템 개발
갈수록 대형화 동시다발적이면서도 예측하기 힘들어지는 자연 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경북도는 수십 년 치 자료를 분석해 행정안전부의 국립재난연구원과 산림청의 산사태 정보시스템을 바탕으로 홍수와 산사태 위험 주민 대피 시스템을 자체 개발했습니다.

미국과 일본 정부 기관의 기상정보도 참고했습니다.

손미영 경북 위기관리 대응센터 주무관은 "시우량(시간당 강우량), 최대 강우량, 누적 강우량에 대한 기준값을 잡고 그 기준값을 만족하는 조건 값이 발생하게 되면 위험 지역이 발생하게 되고 위험지역에 대한 주민들을 사전에 대피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라고 설명했습니다.

시간당 강우량이 10mm 또는 하루 강우량이 40mm, 또는 누적 강우량이 80mm 기준 가운데 하나라도 기준 수치를 넘으면 조기 대비 체제를 가동합니다.

시군의 해당 지역 마을 담당자를 지정해 두고 조기 대비 체제가 가동되면 즉시 마을 이장 등에게 연락하고 공무원은 현장으로 갑니다.

시간당 강우량이 20mm, 또는 하루 강우량 60mm, 누적 강우량이 150mm 가운데 하나라도 기준치를 넘으면 즉시 주민들을 대피시킵니다.

특히 대형 인명피해를 불러오는 산사태의 경우, 주로 새벽 2시와 5시 사이에 발생하는 점을 감안해 재해 우려 12시간 전에 대피시키는 체제입니다.

황병철 경북도 위기관리대응센터장은 "노약자들은 야간에 대피나 행동반경이 아주 좁기 때문에 야간에 재해가 많이 발생합니다. 야간에 재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12시간 전인 오후 5시 기준으로, 오후 5시 이전에 모두가 사전 대피할 수 있도록"이라면서 밤사이 기준치를 넘어갈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면 전날 오후 5시 이전에 주민들을 미리 대피시킨다고 했습니다.

대피 장소는 마을마다 경로당이나 마을회관 또는 인근의 학교로 지정돼 있고 이미 이들 대피소에는 생활 물품들이 비축돼 있습니다.

마을 이장을 비롯한 마을 자체 순찰대를 구성해 재난에 대비하도록 한다는 것입니다.

양치기 소년
경성북도의 재난 대응 시스템대로 한다면 비록 국지 호우가 내리더라도 조기 대응이 가능하지만 문제는 장마부터 태풍 시기는 짧아도 넉 달, 길면 여섯 달 정도가 될 수 있습니다.

즉, 재난 시스템이 경보를 울릴 때마다 주민들을 대피시켜야 한다면 장마나 태풍이 오는 시기, 주민들은 며칠씩, 몇 번이고 사전 대피를 해야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주민들한테 약간의 불편이 있을 수 있지만, 과잉 대피라는 소리를 듣더라도 도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서는 12시간 전에 사전 예보 시스템을 발령해서 도민들의 생명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며 지방자치단체가 주민들의 원성을 듣는 한이 있더라도 이 시스템을 정착시키겠다고 했습니다.

2023년 경북 북부지역에서 많은 비가 예상돼 주민들을 대피시켰는데, 사흘째 되던 날 주민들이 이제 집에 가봐야 한다며 집으로 돌아간 일이 있었습니다.

지자체는 경찰을 동원해 주민들을 대피소로 다시 모았고 그날 밤 산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주민 눈치를 보고 내버려뒀다면 많은 인명 피해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을 미리 예방한 것입니다.

경상북도는 시험 운용을 통한 사전 점검을 거쳐 6월부터 사전 대피 체제를 본격 가동할 계획입니다.

Copyright © 대구M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