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회화의 초석 ‘구상회화’ 총망라… ‘MMCA 기증작품전: 1960-1970년대 구상회화’

김보람 기자 2024. 6. 8. 11:3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9월22일까지 전시
이건희컬렉션 104점 포함 기증 의미 되새겨
왼쪽부터 ①김숙진 作 ‘정물’, 1977, 이건희컬렉션. ②김형구 作 ‘어부의 가족’, 1975, 동산박주환컬렉션. ③문학진 作 ‘흰 코스튬’, 1970, 유족 기증.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한국회화의 토양이 된 1960~1970년대 ‘구상회화’가 총망라 됐다. 자연에 관한 서정성, 사실적 표현으로 민족적 정서를 표현한 이병규, 도상봉 등의 작품을 볼 수 있는 기회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오는 9월22일까지 과천관에서 ‘MMCA 기증작품전: 1960-1970년대 구상회화’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최근 5년간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된 작품 가운데 한국 화단의 형성과 성장에 자양분이 된 1960~1970년대 구상회화를 재조명한다.

1960년대 이후 추상화가 한국 현대미술의 대세가 되면서 아카데믹한 그림은 구시대의 미술로 여겨지거나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추상회화의 파상에 밀리면서도 구상회화의 영역에서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키워낸 작가들이 있었다. 이들은 시대가 변하고 새로운 조형개념이 출현함에도 작가의 개성적인 시선으로 인물, 풍경, 사물, 사건 등을 충실히 묘사하는 표현양식을 지켜왔다.

특히 이번 전시는 ‘이건희 컬렉션’ 104점을 비롯해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된 작품 150점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전시는 2부로 구성됐다. 1부 ‘한국 구상미술의 토양’에서는 국전을 통해 아카데미즘 미술의 초석을 다진 1세대 유화 작가들을 중심으로 근대 서양화 양식의 사실주의 작품을 선보인다. 자연주의적 발상을 토대로 엄격한 사실성을 보인 이병규, 도상봉, 김인승, 이종무, 김숙진, 김춘식 등 작가들의 작품이 펼쳐진다.

이병규 作 ‘고궁일우(古宮一隅)’, 1961, 유족 기증.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녹색이 주조를 이루며 인상주의적 색채를 구사해 주변 풍경과 인물을 섬세하게 묘사한 이병규의 ‘고궁일우(古宮一隅)’와 ‘자화상’, 작가의 취향이 스며든 정물을 자연스럽고 안정되게 화면에 채워나간 도상봉의 ‘국화’, ‘포도와 항아리’, 어촌 풍경이나 노동하며 살아가는 인물들의 일상을 한국적인 인상주의 화풍으로 담아낸 김춘식의 ‘포구(浦口)’ 등이 대표적이다.

2부 ‘새로운 의미의 구상’에선 변화하는 미술 조류에 감응하며 구상과 비구상의 완충지대에 속했던 작가들을 망라한다. 자연에 바탕을 둔 조형적 질서를 추구했던 윤중식, 박수근, 황염수를 시작으로 황유엽, 이봉상, 최영림, 박고석, 홍종명 등 1967년 구상전을 발족한 작가들의 작품이 전시됐다.

이들은 종전의 아카데믹한 양식의 틀에서 벗어나 대상에 대한 수동적 태세를 지양하고 내면의 이미지를 독자적으로 표출한 작가들이다.

윤중식 作 ‘금붕어와 비둘기’, 1979, 유족 기증.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야수주의와 표현주의 양식을 바탕으로 대담한 요약과 강렬한 색채의 구사를 특징으로 하는 윤중식의 ‘금붕어와 비둘기’, 모래나 흙을 화면에 첨가해 독특한 질감을 만들며 민담이나 설화로 해학적인 표현을 보여주는 최영림의 ‘만상(滿想)’, 특유의 대담하고 거친 화풍으로 전국의 명산을 다뤄 산의 화가로도 불렸던 박고석의 ‘도봉산’ 등을 만날 수 있다.

전시장 복도에는 ‘기증, 모두를 위한 예술’을 주제로 기증의 의미와 가치를 되짚어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국립현대미술관의 미술품 기증은 지난 1971년부터 시작돼 지난해 기준 전체 소장품 1만1천560점 중 기증 작품이 6천429점으로 전체의 55.6%를 차지한다.

국립현대미술관이 최근 5년간(2018~2023년) 기증받은 작품의 경향을 분석하고, 동시대 회화 등 주요 작가들의 작품이 대량 수집된 결과 소장품의 양과 질이 높아진 점을 도식화해 보여준다.

앞서 지난 2021년 이건희컬렉션을 기점으로 미술품 기증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개인 소장가나 작가 유족 등이 미술품을 기증하는 사례가 늘어났다.

이병규와 윤중식의 작품은 이건희컬렉션에 포함돼 각각 5점, 4점이 기증된 뒤 유족들에 의해 2021년 하반기에 각각 13점, 20점이 추가 기증됐다. 이에 이병규, 윤중식 등 유족들의 인터뷰 영상으로 기증의 뜻과 공유 과정을 밝혔다.

김성희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예술을 함께 공유하고자 하는 기증자의 뜻이 전시장을 찾은 수많은 국민들에게 향유의 즐거움을 주고 한국 미술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며 “이번 전시가 다채롭게 전개돼 온 한국 구상회화의 바탕과 여정을 살펴보는 의미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보람 기자 kbr13@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