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주택 포진한 부산…집도 대책도 '수리가 필요해'

박혜원 기자 2024. 6. 8. 07: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5일 오후 3시 부산 영도구 청학동.

국토교통부 '2023년 전국 건축물 현황'에 따르면 부산의 노후 주택 비율은 17개 시·도 중 가장 높다.

부산의 주거용 건축물은 23만 6696동인데, 이 중 16만 2633동(68.7%)이 준공된 지 30년을 넘겼다.

전국 노후율 평균은 52%로, 부산이 평균을 16.7%나 상회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국 평균 주택 노후율 52%
부산시 68.7%로 최다 수치
활용 및 개선 방안 시급


지난 5일 오후 3시 부산 영도구 청학동. 골목마다 키 작은 집들이 오밀조밀 모였다. 칠이 벗겨진 담장과 녹이 슬어 검붉은 창틀이 이곳 주택들의 ‘고령화 수준’을 짐작케 했다. “오래된 집이야. 날이 추운데 우풍(외풍의 사투리)도 들고, 여름 되면 습기도 차고. 살기에 불편한 점이 많지.” 이곳에서 만난 동네 어르신 최수연(여·80대) 씨의 설명이다. 사람이 나이를 먹으면 아프지 않은 곳이 없듯, 이곳 집들도 성치 않은 게 한두 군데가 아니라고 한다. 불편투성이 낡은 집, 흘러간 세월을 원망하며 안고 사는 수밖에 없을까.

국토교통부 ‘2023년 전국 건축물 현황’에 따르면 부산의 노후 주택 비율은 17개 시·도 중 가장 높다. 부산의 주거용 건축물은 23만 6696동인데, 이 중 16만 2633동(68.7%)이 준공된 지 30년을 넘겼다. 전국 노후율 평균은 52%로, 부산이 평균을 16.7%나 상회한다.

부산시 영도구 청학동의 오래된 주택 옥상. 박혜원PD


노후 주택 문제는 그저 살기에 불편하다는 차원의 일이 아니다. 삶의 안전을 제대로 지켜주지 못한다. 붕괴, 화재 우려가 큰 데다 여름에는 침수당할 위험에도 쉽게 노출된다. 게다가 이런 낡은 집에는 노인이 거주하는 경우가 많아 더욱 위험하다. 원체 집에 ‘골병’이 들었다 보니 유지·보수 비용도 만만찮다. 여기에 젊은이들이 이 같은 노후 주택을 떠나 살던 동네를 떠나면서 인구 유출과 같은 사회적 문제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동구 좌천동에 사는 김삼순 씨가 노후 주택의 불편한 점을 말하고 있다. 박혜원PD


부산 노후주택 대다수는 원도심에 몰렸다. 이들 지역이 해방 이후부터 80년 가까이 부산시민의 보금자리 노릇을 해온 영향이다. 통계청 ‘통계지리정보서비스’를 보면, 부산 동구는 노후 주택 비율이 44.9%로 지역 내에서 가장 높았다. 뒤이어 중구(42.4%), 영도구(42.1%), 서구(38.6%) 순이었다. 동구 좌천동에 사는 김삼순(여·70대) 씨는 “문도 오래됐고, 난방은 보일러가 고장 나서 갈았는데도 겨울 되면 많이 춥다. 섀시가 얇아 소음도 심하다”고 말했다. 영도구 청학동에 거주하는 천삼순(여·60대) 씨는 “옛날 건물이다 보니까 지붕, 방 구조 등을 다 보수해서 살았다”며 “청학동 윗동네는 전부 (도시가스 대신) 기름 보일러라서 불편한 점도 많고, 주택 간 공간이 좁다 보니까 더 불편하다”고 설명했다.

낡은 집에 사는 주민을 위해 지자체는 무엇을 하고 있을까. 동구 2030기획단 송혜정 계장은 “주거의 편의를 돕는 방식의 도시재생 사업을 새롭게 추진하려 한다. 또 ‘집 수리 사관학교’를 운영해 주민 스스로 집 수리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단계별 교육을 단계별로 진행할 계획이다”며 “이밖에 슬레이트 지붕 개량 지원 사업, 햇살 둥지 사업(빈집 리모델링), 노후 공동주택 지원 사업 등을 시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구와 영도구에서도 유사한 방식의 도시재생 사업이나 집 수리 교육 또는 직접 수리 사업이 추진 중이다.

하지만 노후 주택 사업이 순탄하지만은 않다. 중구 재생건축과 장희호 주무관은 “도시재생 사업지 내 주택들만이 사업 대상이고, 자부담(10% 내외) 조차 부담하기 힘든 세대에는 지원이 사실상 어려운 점 등 한계가 있다”고 전했다. 영도구 박철진 주무관은 “건축물은 건축물 관리법에 따라 소유자가 그 건축물을 관리해야 하는데 오래된 주택은 소유자가 실제로 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면 법적으로 할 만한 방안을 찾기가 어렵다”고 설명했다.

노후 주택 세대의 안전을 위협하는 낡은 집, 해결 방안도 ‘수리’가 시급해 보인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