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대표 일자리 때문에 결국 다 망한다고?”…‘아마존의 역설’ 뭐길래 [Books]
아마존이 거대 기업으로 성장하는 동안 주요 도시 가운데 상대적으로 낙후돼 있었던 시애틀도 급변을 거듭했다.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과 같은 혁신을 할 수 있는 두뇌를 확보하고 있느냐에 모든 것이 달려 있는 정보기술(IT) 분야 회사들이 대거 유입됐다. 페이스북, 구글, 애플도 연구개발 부서를 시애틀에 새로 설립했다. 대침체 이후 10년 간 22만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겼다. 2018년에는 매주 50명의 개발자가 시애틀로 이주해 들어오는 것으로 추산됐고, 그해 광역 시애틀의 1인당 소득은 7만5000달러에 육박해 수십 년 전과 비교해 무려 25%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단, 혁신에 따르는 거대한 보상은 일부 전문 인력층에 집중됐다. 시애틀의 소득 상위 20% 가구의 평균 소득이 도시 전체 소득의 절반을 넘어설 정도였다. 주택 값도 치솟아 미국 어느 도시보다도 비싸졌다. 시애틀은 점점 더 가족을 부양하면서 사는 게 불가능한 도시가 됐다. 출산율은 뚝 떨어졌고 이미 2014년에 전체 가구 중 아이가 있는 가구가 5분의 1에 못 미칠 정도로 줄었다. 부자는 더 부자가 됐고, 가난한 자는 더 가난해졌다. ‘초번영 도시’가 된 이곳에 사회 구성원들이 공동체적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곳은 없었다.
맥길리스는 “아마존은 미국이 어떤 상태로 변모해왔는지 이해하는 데 이상적인 틀”이라며 “모든 곳에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면서 오늘날 미국을 변모시키고 있는 많은 요인을 대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예컨대 아마존 창업자의 어마어마한 부와 아마존을 구성하는 노동자 다수의 미미한 임금 간 격차는 극단적인 부의 불평등을 보여 준다. 아마존이 주 정부와 연방 정부의 선출직 공직자들에게 막대한 영향력을 미치면서 미국 워싱턴의 권력 구조에서 주요 세력으로 자리잡았다는 점도 자본과 결탁한 미국 정치계를 단적으로 보여 준다.
아마존은 사람들의 대면 상업 활동을 줄이고 지역사회의 조세 기반을 잠식하면서 사회적 유대의 해체에도 일조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펜데믹을 거치면서 아마존을 통한 소비 방식은 이제 단순히 편리한 서비스를 넘어서 필수적인 존재가 돼버렸다. 최근 세계 경제가 침체하면서 수많은 기업이 구조 조정에 나서거나 파산 신청을 하고 있지만, 아마존만큼은 계속해서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에서만 수십만 명씩 새로운 인력을 고용하고 있을 정도다. 그러나 그 일자리는 과거의 숙련되고 보람된 노동 가치를 더 이상 제공하지 못하는, 단순하고 고립된 저임금 노동일 뿐이다. 곳곳에선 로컬 기업이 소멸해갔다.
책에 따르면 베조스는 2014년 아마존에 대한 책을 펴낸 한 기자에게 “아마존은 단지 세계에서 가장 큰 강이기만 한 게 아니라 두 번째로 큰 강보다 수 배 더 큰 강이고, 다른 모든 강을 다 날려버리는 강”이라고 말했다. 쿠팡과 같은 플랫폼 기업이 일상을 지배한 한국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게 웬 나라 망신”…‘한국인 출입금지’ 결정한 이곳, 무슨 짓 했길래 - 매일경제
- 숨진 훈련병에 “사망을 축하합니다” 충격 게시물…육군도 ‘발칵’ - 매일경제
- 최측근이 이런 말을…“이재명, 설탕만 먹는다면 이빨 다 썩을 것” - 매일경제
- “살가죽과 뼈의 경계가 무색”…2년 만에 돌아온 우크라 포로 - 매일경제
- 남편 죽자 30대 女모델의 충격적인 결정...15개월후 기적이 일어났다는데 - 매일경제
- “고교 조기졸업, 의대 노린 거였네”…KAIST가 ‘징검다리’ 됐다는데, 무슨 일? - 매일경제
- “하필 오늘이냐, 오해 살까봐 출근”…삼성 첫 파업, 직원들 반응은 - 매일경제
- 액트지오 고문 “동해 심해 석유·가스 존재 암시 제반요소 갖춰” - 매일경제
- “좀처럼 안오르는데, 꾸준히 사들이네”…엔화예금 넉달새 11% 쑥, 이유는? - 매일경제
- ‘韓 감독 간의 피 튀기는 경쟁’ 신태용 vs 김상식, WC 최종예선 티켓 누가 거머쥐나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