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봉숭아 학당이냐” 반발에…황우여 “2인 지도체제, 한동훈 견제용 아냐”
윤상현 “특정인 의식한 구상”
유력주자 한동훈 견제용 해석
윤심 반영했나 의구심 커져
黃 “의사결정 주체는 당대표”
전당대회 일반국민 반영비율
의원 설문 20%·30%案 팽팽
7일 나경원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집단지도체제는 ‘봉숭아학당’의 안 좋은 기억이 있다”며 “이른바 ‘하이브리드’ 체제도 올바른 대안이 아니다”고 밝혔다. 나 의원은 “정도(正道)로 가야 한다. 책임 정치 실천, 안정적인 리더십 발휘를 위해서는 기존의 단일지도체제가 더 적합하다”며 “특정 시나리오를 가정한 상태에서 무리하게 도입하는 룰은 공정하고 정당한 룰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윤상현 의원 역시 매일경제와 통화에서 “2인 지도체제는 특정인을 의식한 작위적인 구상으로 보인다”며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나 의원과 윤 의원이 언급한 ‘특정 시나리오’란 한동훈 전 위원장의 전당대회 출마설을 가리킨다. 정치권에서는 2인 지도체제가 결국 출마시 당선 가능성이 높은 한 전 위원장의 힘을 미리 빼놓기 위한 의도라는 해석이 제기된다. 2인 지도체제는 1위가 당대표를 맡고 2위가 수석 최고위원을 맡도록 하는 절충형이다. 그 밖의 최고위원은 지금처럼 별도 경선을 통해 뽑는 방식이다. 당대표 궐위시 수석 최고위원이 당대표를 맡도록 해 지도부 안정성을 확보하자는 취지다.
일각에선 황우여 위원장이 2인 지도체제를 꺼내든 배경에 ‘윤심’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제기된다. 여권에서는 경선 룰에 상관 없이 한 전 위원장이 전당대회에 출마한다면 당선이 거의 확실하다는 분위기다. 사실상 ‘비윤(비윤석열)’으로 돌아선 한 전 위원장을 견제하기 위해 수석 최고위원에는 ‘친윤’ 후보를 배치하려는 의도라는 얘기다. 일각에선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이 유력한 견제 후보로 거론된다.
2인 지도체제를 통해서는 유승민 전 의원을 배제하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경선 룰을 개정한다고 하더라도 당원투표 비율이 여전히 높다면 유 전 의원이 나오더라도 2위에 오르긴 어렵다. 유 전 의원이 일반 최고위원 선거에 나설 가능성이 높지 않기 때문에 대표 선거와 분리하면 사실상 ‘배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관련 황 비대위원장은 이날 한 언론 인터뷰에서 “한 전 비대위원장 견제용이라는 해석에 동의할 수 없다”며 “절충형 체제는 당 대표가 주요 의사결정을 내리는 협의제를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현행처럼 단일지도체제로 갈 경우 잠재적 당권주자들이 도전을 포기할 것이란 관측도 많다. 한 전 위원장의 당선이 확정적인 상황에선 도전자들이 출마 의지를 접을 것이란 전망이다. 전당대회 날짜가 잠정 결정됐지만 아직 출마 의사를 공식화한 후보는 없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단일지도체제에서 한 전 위원장이 나오면 나경원 의원, 유승민 전 의원은 물론 윤상현 의원도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며 “그러면 시시해지지 않나. 2인 지도체제는 나름대로 황우여 위원장의 현실적인 고민이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당헌당규 개정 특위는 이날 회의를 열고 지도체제에 대해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여상규 당헌당규 특위 위원장은 회의를 마친 후 “지도체제도 우리에게 아젠다로 던져진 문제기 때문에 결론에는 이르지 못한다 하더라도 반드시 논의를 해야 된다”며 “2인 지도체제에 대한 걱정은 걱정대로 그에 대한 장치를 마련하면 되는 것이니까 좀 더 의논해서 걱정을 불식시키고 그런 제도로 갈 수 있을지 여부도 다시 의논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한 특위 위원은 “지도체제 관련해서는 주말에 위원들이 흩어져서 의견을 들어보기로 했다”며 “2인 지도체제에 대한 찬반은 절반씩으로 해놓고 다음주에 결론을 내리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특위는 당원투표 100%로 대표를 선출하는 전당대회 규정을 개정하는 데는 공감대를 이뤘지만 일반국민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두고 20%와 30% 사이에서 결론을 내지 못했다. 여 위원장은 “대세는 80(당원 투표)대 20(여론조사)이나 70대 30으로 가고 있다”며 “의견이 굉장히 팽팽하다”고 전했다.
국민의힘이 현역 의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당원 70%·일반 국민 30% 방안이 가장 선호도가 높았다. 그러나 일반 국민 20%를 지지한 답변과 차이가 1표에 그쳤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동해가스전 매우 유망, 세계 석유회사들 주목”…의문점 해소 나선 美자문업체 - 매일경제
- [단독] “갑자기 돈 빠져나가면 큰일”…새마을금고에 한은 ‘즉각지원’ 길 연다 - 매일경제
- “밀양 성폭행 가해자, 공공기관 근무…윗선서 ‘지켜주자’ 말 나와” 유튜버 주장 - 매일경제
- “머리뼈는 없지만 좌절은 없다”…승무원 출신 유튜버, ‘희망 메신저’ 됐다 - 매일경제
- 한국 男女 국제결혼 1위 이 나라...일본서는 ‘범죄율’ 1위인 이유 [한중일 톺아보기] - 매일경제
- “남성간 성관계 후 감염”…새 성병 균주 발견, 전염성 강해 - 매일경제
- “혐의 인정합니다”…21억 빼돌린 노소영 女비서, 재판서 선처 호소 - 매일경제
- "대북송금, 李방북 사례금 맞다"… 이재명 공모 입증에 수사력 집중 - 매일경제
- “소원 이뤘다” 가슴에 사인받은 여성팬…이 남자 치솟는 인기 - 매일경제
- “가장 기억에 남는 건 도쿄올림픽이지만…” 17년의 국대 여정 마침표 찍은 배구여제, 12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