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경제 맛들인 ‘북한 MZ’ 세대…“개인주의·과시소비 성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의 'MZ세대'인 장마당세대가 시장경제를 직·간접적으로 체험하면서 통일 이후 국내 금융기관의 잠재 고객이 될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7일 '장마당세대의 특징과 동향' 보고서를 통해 북한의 장마당세대와 한국의 MZ세대(1980년대~2000년대 초반생)가 개인을 중시하는 성향이 유사하다고 밝혔다.
손광수 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출생 시기와 개인을 중시하는 성향 등에서 (장마당세대와) 한국의 MZ세대는 유사점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MZ세대’인 장마당세대가 시장경제를 직·간접적으로 체험하면서 통일 이후 국내 금융기관의 잠재 고객이 될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7일 ‘장마당세대의 특징과 동향’ 보고서를 통해 북한의 장마당세대와 한국의 MZ세대(1980년대~2000년대 초반생)가 개인을 중시하는 성향이 유사하다고 밝혔다.
장마당세대는 1980년대 이후에 태어난 북한의 청년층으로 2022년 기준 약 350만명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어린 시절 1990년대 ‘고난의 행군’을 겪으며 국가의 배급이 아닌 북한의 민영시장의 일종인 장마당을 통해 생존했다. 고난의 행군이란 1990년대 북한이 대기근과 자연재해, 누적된 경제 침체를 겪으며 수십만명이 아사한 사건이다.
장사 활동을 통해 시장경제를 직·간접적으로 체험한 이들은 국가보다 개인의 생존을 우선시한다. 손광수 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출생 시기와 개인을 중시하는 성향 등에서 (장마당세대와) 한국의 MZ세대는 유사점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들은 최신 휴대전화(손전화)를 구매하거나 한국·중국의 동영상과 음악 파일을 공유하며 외부 문화 소비를 과시한다. 20대 북한이탈주민 중 극소수(1.1%)는 외부 문화 유입 경로를 역이용해 여유자금을 중국 은행에 보관하기도 했다.
이에 시장경제 원리를 체득한 장마당세대가 향후 국내 금융기관의 잠재 고객으로 부상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손 연구위원은 “극소수지만 차명계좌에 자금을 보관하는 사람이 있는 만큼 외부 금융기관 수요도 있을 것”이라며 “탈북민에 금융이해도 교육을 제공해 북한주민들의 금융기관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손지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노소영 관장 전 비서 21억원 빼돌려…법정서 “선처해달라”
- ‘돌싱글즈’ 최연소 출연자 등장…97년생 간호사 ‘충격’
- 심수봉 “10·26 때 그분 당하는 거 보고 제정신 아니었다”
- ‘블핑 리사’ 열애설 프레데릭 아르노, LVMH 지주사 대표 임명
- “이별하자던 동거녀 집에서 딴 남자 샤워”…동거녀 살해, 그 남자 중상
- 코요태 빽가 “얼굴 까맣다고 피자집 알바 잘려”
- “나 34살” 늦깎이 국대의 활약…눈물나는 주민규 헌정곡, 뭐길래
- 배우 이연희, 엄마 된다…“올 9월 출산 예정”
- 여자아이들 초경 빨라진 이유, 이것 때문이었다?
- “술 마시지도 않는데” 알코올 중독 ‘경악’…술냄새 진동하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