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으로 본 경제] ‘金값’ 된 김, 바다 열 받으면 식탁서 사라진다
한·중·일 인근 해역 해수면 온도 상승
‘김 생산 2위’ 일본, 최근 생산량 반토막
한국도 수온 상승, 양식장 늘어도 생산량 정체
김 가격이 천정부지로 솟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5일 기준으로 김 가격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7.8% 올랐다. 6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가격 상승 폭이다. 김 도매가격은 지난달 1만7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 6024원과 비교해 56.5%나 비싸졌다. CJ제일제당과 동원F&B, 광천김도 조미김 가격을 올렸다.
김은 줄곧 한국인의 밥상을 지켜온 식재료다. 기록상으로는 조선 중기 광양에서 처음 양식되면서 널리 보급된 것으로 보인다. 한 끼 식사를 책임지는 김밥부터 간간한 반찬인 김자반까지 쓰임새가 다양하다. 최근엔 조미김과 김부각이 ‘K-푸드’의 대명사로 떠올라 외국인들도 많이 찾는 식재료가 됐다. 김 가격이 오르면서 식탁에서 김 반찬이 줄고 수출까지 영향을 받을 상황이 벌어진 것은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 가격이 빠르게 오른 이유는 무엇일까. 표면적으로는 생산량이 줄면서 수출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기후변화가 해수 온도에 영향을 미치면서 김값을 ‘금(金)값’으로 만들고 있다. 조선비즈는 7일 국내 우주 기업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 어스페이퍼팀과 함께 기후변화가 김값을 금값으로 바꾸는 데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봤다.
수출량부터 살펴보면,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김 수출량은 3만5446t으로, 전년(3만470t)보다 16.3% 늘었다고 밝혔다. 4년 전인 2019년 수출량 2만6951t에 비해 1만t 가까이 수출량이 늘었다. 김 수출은 ‘K-푸드’ 열풍뿐 아니라, 기후변화로 다른 나라의 생산량 감소가 큰 영향을 미쳤다. 김은 한국을 포함해 중국과 일본에서 대부분 생산되고 있다.
어스페이퍼팀이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 위성영상을 분석한 결과, 한·중·일 주변 해역의 겨울철 해수면 온도는 최근 들어 크게 따뜻해졌다. 2015년 1월 섭씨 12.5도 수준을 유지하던 한국 남해·제주도와 중국 동쪽 해역은 지난 1월 대부분 섭씨 20도 안팎을 기록했다. 일본은 혼슈와 규슈 해역 대부분 섭씨 20도 안팎을 기록했다. 김은 차가운 바닷물에서 자란다. 김 양식에 적합한 해수 온도는 섭씨 10~20도로, 이상으로 온도가 올라가면 생육에 문제가 생긴다.
일본은 김 생산량이 줄어든 대표적인 나라다. 일본은 한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김을 많이 생산한다. 하지만 최근 해수면 온도가 상승해 채취한 그대로의 김인 원초(原草) 생산이 크게 줄었다. 특히 일본 최대 김 생산지인 규슈 아리아케 해역의 김 양식장들이 큰 타격을 입었다.
유럽우주국(ESA)이 운영하는 지구 관측 위성 ‘센티넬-2호(Sentinel-2)’가 아리아케 김 양식장을 포착한 영상을 보면, 지난 1월 26일 아리아케 해역 김 양식장은 점점 자취를 감추고 있다. 지난해 1월 31일과 비교하면 거의 절반 정도의 면적이 없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김 생산 시기는 주로 11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다. 지난 1월은 한창 김이 생산될 시기였지만, 관측되는 양식장이 과거보다 눈에 띄게 줄어든 것이다. 아리아케 해역의 김 양식장이 사라진 건 김 성장이 더뎌 수확을 포기했거나 이미 수확이 끝났기 때문이다.
일본의 김 생산량은 반 토막이 났다. 일본 전국어연김사업추진협의회에 따르면 최근 1년 일본의 김 생산량은 5000만 속(束·김 100장을 묶은 단위)에 그쳤다. 일본에서 해마다 1억 속이 넘는 김이 생산됐던 점을 고려하면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김 수요를 충당하기 어려운 셈이다. 어스페이퍼팀은 “일본의 해수면 온도가 오르면서 생육 환경이 좋지 않은 영역을 중심으로 김 수확 시기가 앞당겨졌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한국도 김 생산량을 유지하는 게 쉽진 않아 보인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발표한 지난해 김 생산량은 1만4127속으로, 전년(1만5172속)보다 6.8%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김을 양식하는 시설의 수는 112만2000책에서 115만2000책으로 2.6% 많아졌다. 김 양식 시설은 늘렸는데, 오히려 생산량은 역행한 것이다.
나라스페이스 어스페이퍼팀은 한국 최대 김 생산지인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위성 영상을 분석했다. 이번 분석은 센티넬-2호가 촬영한 김 양식장 영상에 분광 특성 차이를 강조하는 기법을 적용해 양식장 면적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전남 해남군과 진도 사이에 분포한 김 양식장 면적은 지난해 총 72.8㎢로, 전년(65.7㎢)보다 10.8% 늘었다. 반면 지난해 전남 김 생산량은 42만5689t에서 41만9475t으로 14.5% 줄었다. 특히 전남의 김 양식 시설 수는 계속해서 많아지고 있지만, 생산량은 2020년 이후 정체됐다. 어스페이퍼팀이 NOAA가 관측한 전남 지역 해수면 온도와 김 생산량을 비교 분석해보니 반비례 관계를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의 김 생산 전망도 밝지 않다. 전남 인근 해역 해수면 온도는 1968~2022년 섭씨 1.36도 상승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합의체(IPCC)’의 제6차 종합보고서는 한반도 인근 해수면 온도가 2100년까지 섭씨 5.1도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해수면 온도 상승으로 해양 생태계가 변해 김 양식을 못 할 수도 있다.
나라스페이스 어스페이퍼팀은 “기후변화로 다른 나라의 김 생산량 저하가 일어나고 한국의 김값이 급등했다”며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김 양식을 유지하기 위해선 해수면 온도 변화를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적정 해수면 온도를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위성영상 분석으로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참고자료
나라스페이스 어스페이퍼 https://ep.naraspace.com/
수년 전만 해도 하루 한번 같은 장소를 찍기 어려웠지만 저가 발사체가 늘어나고 소형위성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제는 지구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실시간 감시하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국방 분야는 물론 재해와 재난 감시, 손해 사정, 산업 동향 분석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위성 영상이 활용되고 있다. 국내 위성 서비스 기업 나라스페이스와 조선비즈는 우주 데이터가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우주경제 시대를 앞두고 인공위성 영상 데이터와 국방과 산업, 경제, 사회 등 다양한 분야를 접목해 분석하는 ‘위성으로 본 세상’과 ‘위성으로 보는 경제’라는 ‘스페이스 저널리즘’ 시리즈를 매주 공개하고 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홍콩 부동산 침체 가속화?… 호화 주택 내던지는 부자들
- 계열사가 “불매 운동하자”… 성과급에 분열된 현대차그룹
- 삼성전자·SK하이닉스, 트럼프 2기에도 ‘손해보는 투자 안한다’… 전문가들 “정부도 美에 할
- [르포] 일원본동 "매물 없어요"… 재건축 추진·수서개발에 집주인들 '환호'
- [인터뷰] 전고체 날개 단 CIS “캐즘으로 시간 벌어… 소재·장비 ‘두 마리 토끼’ 잡는다”
- “美FDA 승인 받았는데 회사 꼼수에 주가 곤두박질”... 분노한 개미들, 최대주주된다
- [르포] “혈액 받고 제조, 36시간 안에 투여” 지씨셀 세포치료제 센터
- [과학영재교육 갈림길]④ 김성근 포스텍 총장 “문제풀이 숙련공 거부…370명 원석 뽑겠다”
- 트럼프, 불법이민 추방 예고하자…필리핀 대책 회의 소집
- 비트코인 급등에 엘살바도르, 90% 수익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