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처세대’ 주택연금 늦게 가입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금의 60대는 이른바 '마처세대'라는 또다른 이름이 있다.
주택연금에 가입해 평생 받게 될 월지급금은 가입 당시 주택 시세에 의해 결정된다.
이에 통상 주택연금은 추후 집값 하락이 예상되면 가입 수요가 늘어나는 경향이 나타난다.
만일 현 시세가 4억원인 집으로 주택연금에 가입한다면 55세 가입자는 매달 죽을 때까지 58만2000원을, 70대는 118만2000원을 받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녀·부모 ‘이중부양’ 60대
노후준비, 주택연금이 대안
가입전 ‘다운사이징’ 등 따져야
지금의 60대는 이른바 ‘마처세대’라는 또다른 이름이 있다. 부모를 부양하는 ‘마’지막 세대이지만, 자녀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처’음 세대라는 뜻이다. 은퇴를 앞두고 있거나 은퇴한 뒤에도 20·30대 자녀를 돌보고 80·90대 노부모까지 봉양하다보면 정작 자신의 노후 대비는 뒷전으로 밀린다. 최근 이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도 화제다. 재단법인 돌봄과미래·한국리서치에 따르면, 마처세대의 3명 중 1명은 본인의 고독사를 걱정한다.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62%에 그쳤다.
▶“가진 건 집 한 채가 전부라면...주택연금 활용”=최근 마처세대 사이에선 주택연금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인의 보유 자산 중 부동산이 절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현실에서 매달 안정적인 현금을 확보할 수 있는 최후의 수단과도 같기 때문이다. 주택연금은 집을 한국주택금융공사(HF)에 담보로 맡긴 뒤 평생 혹은 일정 기간 매달 노후 생활자금을 받는 금융 상품이다. 즉, 이름에 ‘연금’이 들어갈 뿐 사실상 생활자금을 연금 형식으로 빌리는 대출인 것이다.
부부 중 1명이 만 55세 이상이고, 공시가격 12억원(시세 약 17억원) 이하 주택이면 가입할 수 있다. 주택연금에 가입해 평생 받게 될 월지급금은 가입 당시 주택 시세에 의해 결정된다. 가입 후 주택 가격이 뛰어올라도 월 지급액은 동일하다는 얘기다. 이에 통상 주택연금은 추후 집값 하락이 예상되면 가입 수요가 늘어나는 경향이 나타난다. 연간 누적 가입자 수가 계속 증가해 올해 2월 말 기준으로 12만3852명이 이용하고 있다.
또 집 가격이 똑같더라도 기대 수명을 고려해 나이가 적을수록 월 수령액이 작고, 나이가 많을수록 월 수령액이 큰 구조다. 만일 현 시세가 4억원인 집으로 주택연금에 가입한다면 55세 가입자는 매달 죽을 때까지 58만2000원을, 70대는 118만2000원을 받는다. 그렇다면, 다들 주로 언제 가입할까. 지난 2월 말 기준 주택 연금 가입자의 가입자 평균 나이는 72세로, 평균 주택 가격은 3억8300만원로 조사됐다. 평균 월 지급금은 121만9000원 수준이다.
▶“일단 현금 마련 후 가능한 늦게 가입”=주택연금의 가장 큰 특징은 가입자뿐만 아니라 배우자까지 모두 세상을 떠날 때까지 매달 지급된다는 점이다. 부부가 모두 일찍 사망해 주택연금을 생각만큼 많이 받지 못해 손해라고 우려할 수도 있지만,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부부가 모두 사망하면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주택을 처분하고 주택 처분금액이 연금수령 총액보다 많으면 그 차액을 상속자에게 돌려준다. 또 연금수령액이 집값을 초과하더라도 상속자에게 청구하지 않는다.
연금 전문가들은 가능하면 늦게 신청할 것을 조언한다. 매년 물가상승률을 반영해서 연금액이 올라가는 국민연금과 달리 주택연금은 연금액이 고정되면서 가치 하락분이 그대로 반영되기 때문이다. 또 집값 상승폭 대비 월 지급액이 적다고 판단해 주택연금을 해지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중도해지 수수료는 없지만 주택가격의 최대 1.5%에 해당하는 초기 보증료는 돌려받을 수 없다. 3년 동안 재가입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신중히 해야 한다.
이와 함께, 주택연금 가입 전에 ‘주택 다운사이징’도 함께 따져봐야 한다는 진단도 있다. 은퇴 후 자녀들이 출가까지 마쳤다면 살고 있던 집의 크기를 줄여 현금을 확보해 재투자하는 게 더 유리할 수 있어서다. 만일 시세 10억원의 아파트를 팔고 7억원의 집으로 이사하면 3억원의 자금이 생긴다. 이를 지방의 아파트나 오피스텔을 사서 월세를 놓을 수도 있고 고배당 ETF 등에 투자해 추가 현금흐름을 만들어볼 수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다운사이징으로 확보한 현금이 주택연금 총 수령액보다 많거나 비슷하면 고려해볼 것을 추천했다.
유혜림 기자
forest@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드래곤 “나는 천재 아냐”…과학 석학들 만난 그가 꺼낸 한 마디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4]
- “황의조, 몰래 촬영女 또 있다. 지인에게 유포까지”…형수 진술 보니
- "하극상 앙금 아직?"…이강인 '2골 맹활약'에도 인터뷰 거절
- "누군가를 비난하는 한국 문화 때문…" 클린스만 또 책임전가
- 직장서 해고된 밀양 가해자 “심정지 온 듯, 다 잃었다…피해자에 죄송”
- “유재석이 왜 여기서?”…르노 성수에 ‘틈만나면’ 출연진·‘선재 업고 튀어’ 임솔 방문한
- “故최진실, 밀양 성폭행 피해자 도왔다”…20년만에 재조명
- “김밥 먹었을 뿐인데” 미국서 품절 대란 일으킨 비결…‘틱톡’ 크리에이터 커뮤니티에 달렸
- 현빈·손예진 구리 신혼집 70억 매물로 나왔다…시세차익 22억 예상
- “40% 파격 할인, 웬일이냐” 순식간에 동난 아이폰 알고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