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스마트팜 투자 부담 커…“이민 가듯 준비해야”

이수연 2024. 6. 7. 08:1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요즘 농업에 투신하는 청년들은 스마트팜에 관심이 많은데요.

시설비가 많이 들고 땅도 사야 하니 초기 투자금이 큰 부담입니다.

정부 지원을 받는다 해도 철저하게 준비를 해야 하는데, 마치 다른 나라로 이민을 하는 마음으로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이수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20대 청년들이 구슬땀을 흘리며 오이를 땁니다.

20개월 과정으로 스마트팜 경영을 배우는 젊은이들입니다.

이론교육과 재배 실습에 이어 마지막 1년은 경영 실습 과정.

직접 작목을 선택하고 판로를 개척해 수익을 내는 경영 수업을 받습니다.

[손상운/청년창업보육센터 교육생 :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드는 그런 직업이잖아요, 농업이. (여기서는) 실패도 할 수 있는 거고 현장에서는 실패 안 하는 그런 기회를 잡을 수 있는 그런 프로그램이 아닌가…."]

IT 기술로 재배 환경을 제어하는 스마트팜을 유리온실로 짓자면 시설비를 낮춰잡아도 3.3㎡에 100만 원 선입니다.

창업 초기 단계에서 2천㎡ 규모의 스마트팜을 지으려면 땅값을 제외하고 시설비만 6억 원이 든다는 얘깁니다.

2년 전 김제시가 운영하는 임대형 스마트팜에 입주한 39살 이기득 씨.

독립을 위해 청년농 지원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대출을 받아야 하는 형편이지만 회사를 그만두고 농업을 택한 건 그만큼 기회가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이기득/39세 : "농업이 재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에 맞는 부가가치 사업, 가공이라든지 수출도 가능하고요. 청년들이 온다고 하면 지금보다 훨씬 많은 사업의 기회들을 만들어 내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 같은 도전에도 불구하고 젊은 농가는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경영주가 40세 미만인 농가는 지난해 5천 가구로 1년 전보다 20% 넘게 줄었습니다.

농업에 뜻을 품은 청년들이 투자 사기를 당하거나 텃세에 시달리지 않게 적응을 돕는 지역 거점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마상진/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도시에서 농촌으로 간다는 건 어떻게 보면 이민이라고도 할 수가 있습니다. 국가를 건너서 이렇게 하는 것처럼 지역사회 적응이라는 것은 결국 인간관계를 잘 형성하는 것입니다."]

정부는 소득과 농지 등의 지원 정책과 함께 청년들의 정착을 위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이수연입니다.

촬영기자:황종원 문아미/영상편집:이유리/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수연 기자 (isuyon@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