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날두 무회전킥, 그 힘의 원천은 종아리근육

박현주 책 칼럼니스트 2024. 6. 7. 03: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림픽에 간 해부학자- 이재호 지음/어바웃어북/2만2000원

- 볼트의 폭발적 스피드 만든 속근

- 알리의 주먹과 펠프스의 허파 등

- 올림픽 스타들의 뼈·근육 해부로

- 몰랐던 신체 부위와 속성 파헤쳐


올림픽. 4년에 한 번 개최되는 전 세계 최대 규모 종합 스포츠 축제이며,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종합 스포츠 대회이다. 신기록을 쏟아내며 인간 한계를 뛰어넘는 올림픽 영웅들은 어떻게 그토록 빨리 달리고, 높이 뛰어오르고, 목표를 맞추고, 물살을 가를 수 있는지 궁금하다. 특별한 훈련을 하면 될까, 역시 타고난 재능이 있어야 하는 걸까. 이재호의 ‘올림픽에 간 해부학자’가 그 비밀을 풀어준다.

호날두의 무회전킥 동작은, 발목을 틀어서 앞으로 내밀어 공에 임팩트를 가한다. 이때 발목관절이 골대 방향으로 수평직선적인 운동을 한다. 어바웃어북 제공

이재호는 전작 ‘미술관에 간 해부학자’가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책 제목이 그대로 닉네임이 된 해부학자이다. 저자가 미술에 이어 깊이 관심을 둔 분야는 올림픽. ‘그들의 뼈는 어떻게 금메달이 되었나’를 파헤쳤다. 저자는 여름 올림픽에서 28개 종목을 선별하여 스포츠에 담긴 인체의 속성을 해부학 언어로 풀어낸다. 우리에게 낯익은 스포츠 스타들의 뼈와 근육 이야기라니, 더 흥미진진하다.

해부학과 스포츠는 아주 오래전부터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해부학 개념을 정립한 고대 그리스 의학자 갈레노스는 한때 콜로세움에서 주치의로 일하며 치명상을 입은 검투사를 치료했다. 당시 로마제국 검투사는 수많은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목숨 걸고 싸웠고, 사자나 표범 같은 맹수와의 격투로 죽거나 다치는 일이 많았다. 갈레노스는 검투사의 부러진 뼈를 맞추거나 피부와 근육을 꿰매는 수술을 집도했는데, 이러한 기록은 현대 스포츠의학의 기원을 이룬다.

스포츠의 기본인 육상부터 보자. 우리 몸의 근육조직을 이루는 속근과 지근이 단거리와 장거리 경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마라톤 선수의 스포츠심장과 발바닥 구조에 담긴 함의는 무엇인지 해부한다. “올림픽에서 가장 많은 메달이 걸린 육상의 경우 단거리/중거리/장거리 등 세부 종목에 따라 근육의 발달 정도에 차이가 있다. 우리 몸의 근육은 크게 속근과 지근으로 나뉜다. 속근은 수축 속도가 빠른 근육으로 순간적으로 힘을 낼 때 사용되는 만큼 100미터와 200미터 등 단거리선수일수록 발달해 있다. 반면 지근은 수축 속도가 느린 근육이므로, 지속적으로 긴장 상태를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만큼 장거리와 마라톤 선수일수록 발달해 있다.” 100미터 세계기록 보유자 우사인 볼트가 순간적으로 폭발력 넘치는 스피드를 내는 건 탁월한 속근 때문이다.

탁월한 속근으로 순간적으로 폭발력 넘치는 스피드를 내는 100미터 세계기록 보유자 우사인 볼트. 어바웃어북 제공


축구팬은 무회전킥을 안다. 무회전킥 최고 슈터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그의 무회전슛은 축구공 무늬가 보일 정도로 회전 없이 날아가다가 골키퍼 앞에서 갑자기 크게 흔들리면서 뚝 떨어진다. 슛 속도가 시속 130킬로미터 이상은 돼야 가능하다. 이런 슛을 어떻게 차는 걸까.

“호날두의 무회전킥 동작을 해부학적으로 살펴보면, 공을 향하는 강력한 임팩트가 단지 발목이나 발등만으로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무회전킥을 제대로 구사하려면 골반에서 허벅지근육을 지나 종아리근육에 이르기까지 어디 하나 중요하지 않은 부위가 없다. 그중에서도 필자는 종아리근육에 주목한다. 그 이유는 종아리근육을 이루는 긴발가락폄근(장지신근), 긴엄지폄근, 앞정강근이 발등은 물론 발가락의 움직임에까지 깊게 관여하기 때문이다.” 이런 근육 이름이 있는 줄도 몰랐다.

알리의 주먹(1964년 올림픽), 코마네치의 발목(1976년 올림픽), 조던의 무릎(1992년 올림픽), 펠프스의 허파(2008년 올림픽), 볼트의 허벅지근육(2008년~2016년 올림픽), 태극 궁사들의 입술(1984년~2020년 올림픽) 등. 저자는 올림픽 영웅들의 뼈와 살을 낱낱이 해부했다. 책에는 100여 컷의 해부도와 이미지를 수록해 종목마다 다룬 신체 부위에 대한 의학적 이해를 돕는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