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장으로 '전자피부' 접착력 높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팀이 자기장으로 전자 소자와 전극을 물리적·전기적으로 단단히 묶는 기술을 개발했다.
홍용택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사진) 연구팀은 6일 이 같은 '위치 선택적 집적 기술'을 개발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 5월호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위치 선택적 집적 기술은 이 문제를 모두 해결했다.
연구팀은 "단단한 물성의 접착제 영역을 최소화하는 기술"이라며 "전극의 물성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연결 강화 기술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발표
국내 연구팀이 자기장으로 전자 소자와 전극을 물리적·전기적으로 단단히 묶는 기술을 개발했다.
홍용택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사진) 연구팀은 6일 이 같은 '위치 선택적 집적 기술'을 개발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 5월호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최근 신축성을 지닌 디스플레이나 부드러운 형태의 전자 피부가 주목받고 있다. 이 제품들이 상용화되려면 단단한 물성을 가진 미세 전자 소자를 부드러운 물성을 가진 전극에 연결하는 접착 기술이 필요하다. 기존에 접착제로 쓰는 필름 등은 자체의 단단한 물성으로 신축성이나 유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부드러운 물성의 접착제는 물리적 연결의 안정성이 낮다.
연구팀이 개발한 위치 선택적 집적 기술은 이 문제를 모두 해결했다. 이 기술은 자기장을 이용한다. 외부 자기장이 없는 상태에서도 자화되는 물질의 자기적 성질을 뜻하는 '강자성체' 입자의 분포를 조절해 미세 소자와 전극 사이를 물리적·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연구팀은 "단단한 물성의 접착제 영역을 최소화하는 기술"이라며 "전극의 물성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술은 향후 스트레처블 기기 상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초소형 유연·신축성 전자기기 상용화를 앞당길 것"이라고 밝혔다.
[고재원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경복궁 지하, 8중 잠금장치 풀었더니…조선왕실 보물 8만8천점이 나타났다 - 매일경제
- ‘밀양 성폭행’ 3번째 가해자 공개…“다니던 대기업서 임시 발령 조치” - 매일경제
- 한 회사서 8명 동시에 혈액암 발견…실태조사 나섰다는데 - 매일경제
- 영일만 검증 美회사 오너 “동해유전, 의문 많은 것 알아…분명한 답 내놓겠다” - 매일경제
- ‘300억 메모’ 한 장이 1.4조?…최태원-노소영 이혼소송 최대 쟁점 - 매일경제
- “한 달 새 700만개 팔렸다”…신라면 못지않은 농심 야심작, 뭐길래 - 매일경제
- “9년만에 희망퇴직 받는다”…‘이 회사’ 실적도 좋다는데, 왜? - 매일경제
- “접는 건 삼성이 휩쓸 줄 알았더니”…폴더블폰 세계1위 바뀌었네 - 매일경제
- 80kg까지 쪘던 성유리, 30kg 뺐다…폭풍 다이어트, 성공 비결은? - 매일경제
- 이정후, 어깨 수술 받았다...회복에 6개월 예상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