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원으로 비빔밥도 못 먹어"…외식 물가 상승률 3년째 고공행진 [뉴스+]

김기환 2024. 6. 6. 17: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40대 직장인 김모씨는 6일 휴일을 맞아 서울 강남의 한 고깃집에서 가족들과 식사를 마치고 계산을 하려다 깜짝 놀랐다.

김씨는 "한우 등심 3인분에 냉명 한 그릇씩 먹었는데 23만원이 나왔다"며 "아무리 물가가 올랐어도 이 정도인 줄은 몰랐다"고 토로했다.

실제로 외식 물가 상승률이 지난 3년 동안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치를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외식 물가 상승률, 소비자 물가 상승률 평균 웃돌아
외식 세품 품목 39개 중 물가 내린 품목은 없어

40대 직장인 김모씨는 6일 휴일을 맞아 서울 강남의 한 고깃집에서 가족들과 식사를 마치고 계산을 하려다 깜짝 놀랐다. 3명 식사비가 20만 원이 넘게 나왔기 때문이다. 김씨는 “한우 등심 3인분에 냉명 한 그릇씩 먹었는데 23만원이 나왔다”며 “아무리 물가가 올랐어도 이 정도인 줄은 몰랐다”고 토로했다.

외식 물가 오름세가 심상치 않다. 서민들의 대표 음식인 냉면, 김밥, 비빔밥 가격이 크게 올랐다. 게다가 치킨, 피자, 버거 등 프랜차이즈 먹거리도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해 물가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전주비빔밥. 연합뉴스
실제로 외식 물가 상승률이 지난 3년 동안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치를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최근 넉 달 연속 평균치를 밑돌았지만, 오름폭이 확대됐다. 특히 식용유와 간장, 참기름, 고추장, 된장 등 기초 재료 상승 폭이 컸다.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2.8%로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률 평균치(2.7%)보다 0.1%포인트 높았다.

이로써 외식 물가 상승률이 소비자 물가 상승률 평균을 웃돈 현상은 2021년 6월부터 36개월 연속 이어졌다.

지난 3년 동안 외식 물가 부담이 다른 품목들에 비해 그만큼 더 컸다는 얘기다.
서울 시내 한 김밥 가게에 메뉴와 가격이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외식 세품 품목 39개 중 절반이 넘는 23개 물가 상승률이 평균을 웃돌았고 물가가 내린 품목은 없었다.

떡볶이가 5.4%로 가장 높고 도시락(5.3%), 김밥(5.2%), 비빔밥(5.2%), 칼국수(4.3%), 쌀국수(4.2%), 김치찌개백반(4.1%), 구내식당식사비(4.0%) 등 순이었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인 '참가격'을 보면 지난 4월 서울 지역 김밥 가격은 평균 3362원으로 3년 전(2692원)보다 24.9% 올랐다. 비빔밥은 같은 기간 8846원에서 1만769원으로 21.7% 상승했다.

칼국수는 7462원에서 9154원으로 22.7%, 김치찌개백반은 6769원에서 8115원으로 19.9% 각각 올랐다.

지난달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8.7%로 전체 평균치의 3.2배에 달했고 그중에서도 과실은 38.9%로 14.6배였다. 배는 126.3%, 사과는 80.4%, 양배추는 56.1% 등이었다.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 푸트코트 키오스크에 떡볶이 등 메뉴 가격이 표시돼 있다. 뉴시스
2분기 들어 올리브유, 간장, 참기름, 조미김 등 가공식품과 김밥, 치킨, 피자, 햄버거 등의 외식 메뉴 가격이 줄줄이 올라 먹거리 물가 상승 폭은 더 커질 수 있다.

소비자단체는 최근 성명을 내고 가격 인상 자제를 촉구하고 있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외식과 가공식품 부담이 가중되는 서민 물가 안정을 위한다면 가격 인상을 자제해야 하고, 1분기 호실적을 낸 기업들은 가격을 올리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외식 물가는 서민들이 느끼는 직접적인 물가 바로미터다. 물가가 오르면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되고, 이는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