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윤 대통령 ‘동해 석유 브리핑’···산업부 “협의했으나, 경과 공개는 불가”

이유진 기자 2024. 6. 6. 16:2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통령 및 대통령실 지시사항’ 질문에는
“발표 당일 탐사시추 진행 지시” 답변
김원이 민주당 의원 질의에 답변자료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첫 국정브리핑을 열고 동해 석유·가스 매장과 관련한 발표를 하고 있다. 윤 대통령 뒤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보인다. 김창길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후 첫 국정 브리핑에서 경북 포항 영일만 인근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을 발표한 배경을 두고 산업통상자원부가 “유가스전 개발과 같은 범국가적 프로젝트의 경우 대통령실이 직접 추진 배경 및 경위에 대해 국민에게 소상히 알려드려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주무부처인 산업부 내부에서도 ‘깜짝 발표’라는 반응이 나올 정도로 ‘산업부 패싱’ 논란이 커지자 이를 부인한 것이다.

산업부는 6일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제출한 답변 자료에서 석유·가스 탐사 시추 계획 발표와 관련해 ‘대통령 첫 국정 첫 브리핑으로 발표하게 된 이유’를 질문 받자 “자원안보 및 국민 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므로 전 국민의 일치된 관심과 성원이 필수적”이라며 이같이 답했다.

하지만 산업부는 대통령실과의 발표협의 경과 현황 및 협의 보고서 등에 대해선 자료 제출을 거부했다. 산업부는 “동해 심해 가스전 관련 사항을 비롯해 자원안보와 관련된 중요사항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대통령실과 소통해왔다”면서도 “보고 내용은 국가 자원안보에 관한 중요 정보가 포함돼 있어 제출하기 어려움을 양해해 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또 산업부는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 관련 대통령 및 대통령실 지시사항’에 대해선 “6월3일 브리핑 당일 산업부 장관에게 탐사시추 진행을 지시했다”는 한 줄짜리 답변을 내놨다. 대통령실의 깜짝 발표 전에 주관 부처인 산업부와 충분한 소통과 조율이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윤 대통령의 지난 3일 브리핑은 당일 갑작스럽게 공지됐다. 대통령실은 브리핑이 있기 약 8분 전 내용 설명 없이 관련 일정을 출입기자들에게 공지했다. 산업부 대변인실은 브리핑에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 배석한 사실을 발표 직전 인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내용이 알려지면서 이번 발표 과정에서 산업부가 ‘패싱’된 것 아니냐는 의혹도 나왔다.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대변인도 이날 BBS라디오에서 “국정 브리핑 1호로 대통령께서 관련 출처도 거의 모르는 상태에서 출입 기자에게 8분 전에 공지하고 4분간 질의응답 없이 (발표를) 진행했다”며 “그 형식에 대해서는 상당히 지적들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통화에서 브리핑 패싱 논란에 대해선 “대변인실만 몰랐던 것”이라고 답했다.


☞ [단독]‘입꾹닫’ 산업부, 엑트지오-석유공사 공문 제출요구에 “안보·영업기밀” 부실 답변만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406061621011&code=910100

이유진 기자 yjle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