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집시법 개정이 필요한 이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손님과 주고받는 대화가 들리지 않을 만큼 소음이 크고, 시위자들이 가게 입구를 막아 영업이 어렵습니다."
서울시 구로구에서 농수산물 가게를 운영하는 50대 자영업자의 말이다.
그는 지난해 여름부터 10개월째 가게 앞에서 벌어지는 집회·시위로 영업에 타격을 입고 있었다.
자영업자에게 영업 활동은 '생명줄'과도 같지만 어디에 하소연할 데도 없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행복추구권·학습권 등 헌법상 시민 권리 침해
[이데일리 황병서 기자] “손님과 주고받는 대화가 들리지 않을 만큼 소음이 크고, 시위자들이 가게 입구를 막아 영업이 어렵습니다.”
서울시 구로구에서 농수산물 가게를 운영하는 50대 자영업자의 말이다. 그는 지난해 여름부터 10개월째 가게 앞에서 벌어지는 집회·시위로 영업에 타격을 입고 있었다. 자영업자에게 영업 활동은 ‘생명줄’과도 같지만 어디에 하소연할 데도 없다.
상인뿐만이 아니라 거주민 역시 집회로 인한 피로감을 호소했다. 장을 보러 나온 40대 여성은 “집회 소음에 아기가 깨기도 한다. 여름날 창문 열기도 무섭다”고 했다.
우리나라 국민은 헌법 제21조에 따라 집회·결사의 자유를 가진다. 이로 인해 사회적 약자 등의 목소리를 일반 시민이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문제는 집회·결사의 자유가 타인의 또다른 헌법상의 권리를 침해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주민·상인도 거주의 자유, 행복추구권 등 헌법상의 권리를 가진다. 이데일리가 지난해 1월 1일부터 올해 4월 15일까지 경찰에 신고된 서울지역 집회신고 5만 642건을 전수분석한 결과 무려 6109건(약 12%)이 주거지역 내 집회신고였다.
학생들도 현법상의 ‘교육받을 권리’를 갖고 있지만 집회 시회로 인한 소음 피해를 호소한다. 장애인의 경우 생명의 위협까지 느낀다. 시각 장애인 50대 여성은 “소리로 사물을 인지하기 어려워 자동차에 부딪히거나 차도로 걷게 될 위험이 있다”고 했다.
집회가 성공하려면 타인으로부터 공감을 얻어야 한다. 지금처럼 시민의 헌법상 권리를 훼손하면서 목소리를 키우는 주장에 공감을 얻기는 어렵다.
입법 차원의 규제도 논의될 필요가 있다. 주거지역에서의 확성기 금지 등이 지난 국회에서 법안으로 발의됐던 만큼, 22대 국회가 관련 법안을 통과시켜 시민의 헌법적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황병서 (bshwa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과 한알 5000원 실화냐” 고삐 풀린 과일 가격…전망도 ‘불안’
- “밀양 성폭행범 가해자 여친 아닌데”…사적제재 유튜버, 애꿎은 사람 잡아
- "구급차도 간신히 빠져나왔다"…해 저물자 거리 점령한 테이블
- “하와이 신혼여행? 꿈도 못 꾸죠”…여권 잃은 中 공무원들
- 현충일에 욱일기 내건 아파트 입주민…‘내부 방송도 소용 없어’
- 호주 우드사이드社 '영일만 장래성 없다' 철수에…정부 "사실 아냐"
- [단독]위기 속 '비상경영'…포스코 장인화호, 임원 '주 5일제' 복귀
- "3년간 17조 벌었다"…불황 속 '명품 불패' 샤넬家
- '161km쯤이야' 오타니, '괴물신인' 스킨스 상대 투런포..시즌 15호
- 10점 차 세리머니에 벤치클리어링…김경문 감독 “더 가르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