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관 남편 명패달며 눈물 짓는 아내…경찰 현충일 추념식

정세진 기자 2024. 6. 6. 15: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6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통일로 경찰청 맞은편 경찰기념공원.

전사·순직 경찰관 추념식은 매년 현충일에 6.25전쟁 때 전사한 전투경찰과 1945년 경찰 창설 이후 각종 임무 수행 중 순직한 경찰관을 추모하기 위해 2016년부터 매년 현충일에 경찰기념공원에서 열린다.

약 25m(미터)의 화강석으로 만들어진 경찰기념공원 추모벽엔 이날 봉헌된 17명을 포함해 총 1만3830명의 전사·순직경찰관 명패가 새겨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69회 현충일, 전사·순직 경찰 추념식 열려…올해 순직자 17명 더해져 봉헌 명패 1만3830개
6일 오전 서울 중구 경찰기념공원에서 전사·순직경찰관 추념식이 열렸다. 순직 경찰관 유가족이 헌화와 분향을 하는 모습. /사진=정세진 기자


"화재 현장 수색 중 붕괴사고로…지구대 근무 중 쓰러져…퇴근 후 호흡곤란으로 쓰러져…"

6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통일로 경찰청 맞은편 경찰기념공원. 사회자가 순직 경찰관 이름과 소속 부서, 순직 경위를 설명하자 곳곳에서 눈물을 훔치는 소리가 들렸다. 사회자가 순직 경찰관에 대해 설명하는 사이 유가족들은 순직 경찰관 이름이 새겨진 화강암 조각을 추모벽에 손수 붙였다. 아들 명패를 손에 든 어머니는 흐느꼈고 남편 명패를 붙이던 부인이 울자 경찰관이 부축하기도 했다.

제 69회 현충일을 맞아 경찰기념공원에서 전사·순직경찰관 추념식이 열렸다. 전사·순직 경찰관 추념식은 매년 현충일에 6.25전쟁 때 전사한 전투경찰과 1945년 경찰 창설 이후 각종 임무 수행 중 순직한 경찰관을 추모하기 위해 2016년부터 매년 현충일에 경찰기념공원에서 열린다.

이날 추념식에는 순직 경찰관 유가족과 윤희근 경찰청장, 김수환 경찰청 차장, 김호철 국가경찰위원장, 주상봉 대한민국재향경우회 중앙회장, 오정탁 6.25 참전경찰국가유공자회 회장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경찰기념공원은 전사·순직 경찰관을 기리는 추모 시설이다. 2016년 6월 6일 개원할 땐 추모벽에 1만3675명의 명패를 새겨넣었다. 이듬해부터 매년 현충일에 순직 경찰관 명패를 봉헌한다. 올해는 지난해 10월 경기 부천 원미산 팔각정 화재 조사에 나섰다가 추락해 순직한 고 박찬준 경위 등 17명의 경찰관 명패가 봉헌됐다.

명패 봉헌이 끝난 후 유가족을 대표해 고 박찬준 경위 부인이 추모벽에 헌화하고 분향했다.

윤희근 경찰청장이 현충일인 6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기념공원에서 전사·순직경찰관 추념식에 참석해 추념식사를 하고 있다/사진=경찰청


분향 후에는 추념사가 이어졌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이날 추념사를 통해 "사랑하는 가족을 잃은 슬픔을 의연하게 견디고 있는 유가족에게 진심으로 격려와 위로의 뜻을 전한다"며 "조국을 수호하고 시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선배 경찰관들의 숭고한 희생이 있었기에 세계 최고 수준의 치안을 자랑하는 한국 경찰이 있다"고 했다.

이어 "전사·순직 경찰관의 헌신에 합당한 예우를 갖추는 일은 후배 경찰관들이 절체절명의 순간과 마주했을 때 망설임 없이 소명에 충실할 수 있는 자긍심을 닦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추념사를 마친 윤 청장은 재향 경우회 관계자 등에게 감사장을 전달하고 순직 경찰관 유가족과 함께 오찬을 했다.

약 25m(미터)의 화강석으로 만들어진 경찰기념공원 추모벽엔 이날 봉헌된 17명을 포함해 총 1만3830명의 전사·순직경찰관 명패가 새겨졌다.

6일 오전 서울 중구 경찰기념공원에서 전사·순직경찰관 추념식이 열렸다. 순직 경찰관 유가족이 헌화와 분향을 하는 모습.추모벽에 전사·순직 경찰관 명패가 새겨져있다./사진=정세진 기자


정세진 기자 seji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