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화일로 미얀마 경제… 통화가치 70% ‘뚝’, 외환보유고 ‘텅텅’

허경주 2024. 6. 6. 14:1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군부 쿠데타 이후 극심한 혼란에 빠진 미얀마 경제가 날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6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미얀마 민주진영 임시정부 국민통합정부(NUG)는 지난 3일 유엔 대상 브리핑에서 "2021년 2월 1일 군부 쿠데타 발발 이후 통화 가치 붕괴, 외환보유고 급감, 치솟는 물가상승(인플레이션)으로 미얀마 경제가 더 깊은 위기에 빠지고 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NUG "제재로 외환보유고 38억 달러... 위험"
군부 "GDP 성장률 3.4% 외환도 안정" 반박
지난달 30일 미얀마 양곤 환전소에서 환전상이 미얀마 짯 지폐를 보여주고 있다. 양곤=AFP 연합뉴스

군부 쿠데타 이후 극심한 혼란에 빠진 미얀마 경제가 날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국제사회의 제재로 외환보유고가 텅텅 비어 가고, 통화 가치가 급락한 데다, 물가마저 두 자릿수로 치솟으면서 주민들의 삶은 점점 더 피폐해지고 있다는 민주 정부의 주장이 나왔다.

6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미얀마 민주진영 임시정부 국민통합정부(NUG)는 지난 3일 유엔 대상 브리핑에서 “2021년 2월 1일 군부 쿠데타 발발 이후 통화 가치 붕괴, 외환보유고 급감, 치솟는 물가상승(인플레이션)으로 미얀마 경제가 더 깊은 위기에 빠지고 있다”고 밝혔다.

틴툰나잉 NUG 기획투자부 장관은 미얀마 통화 ‘짯’ 가치가 지난 3년간 70% 폭락했다고 밝혔다. 그는 해당 수치가 어떻게 집계됐는지 구체적인 환율 수준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다만 블룸버그통신은 “미얀마 중앙은행이 미국 달러 대비 짯화 환율을 2,100짯으로 고정했지만, 온라인에서는 평균 3,340짯 안팎으로 거래되고, 송금 시에는 3,520짯이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미얀마 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암시장에서는 지난주 달러당 4,500짯까지 가치가 급락했다.

이와 함께 NUG는 미얀마 외환보유고가 약 38억 달러(약 5조2,000억 원) 이하로 떨어졌고, 물가상승률이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고도 주장했다. 국제 제재로 자금난에 처한 군부가 무기 조달을 위해 무리하게 화폐 발행을 늘리면서 물가상승이 더 가팔라졌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지난 4월 태국과 접한 미얀마 국경도시 미야와디에서 한 저항군이 경계를 서고 있다. 미야와디=로이터 연합뉴스

앞서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는 올해 2월 미얀마를 국제 금융 고위험국(블랙리스트)으로 지정했다. 금융 시장 상황이 북한, 이란과 같은 수준으로 불안하고, 미얀마와의 금융 거래가 자금세탁, 테러 자금 조달 등에 연루될 수 있다고 경고한 셈이다.

NUG 발표에 조민툰 미얀마 군정 대변인은 5일 “근거 없는 주장이며 경제 불안을 조장하기 위한 시도”라고 평가 절하했다. 2023 회계연도 미얀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3.4%이고, 외환보유액도 121억 달러(약 16조5,500억 원)로 안정적 수준이라고 반박했다.

다만 물가상승률은 24.4%로 예년보다 높은 수준이라고 발표했다. 군부는 4일과 5일 이틀간 외환 투기 혐의로 35명을 체포하는 등 외환시장 단속 강화에 나서기도 했다.

돈줄이 막힌 미얀마 군부가 마약 생산에 열을 올리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동남아시아 전문가 재커리 아부자 미국 워싱턴국립전쟁대 교수는 5일 독일 도이체벨레 인터뷰에서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 분석 결과 지난해 미얀마 아편 재배지가 1년 전보다 18% 늘었다재정 압박에 직면한 군부가 마약을 더 많이 만들고 수출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하노이= 허경주 특파원 fairyhkj@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