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보다 130조 많아진 기업대출…풍선효과에 건전성 ‘부메랑’ 우려[머니뭐니]

2024. 6. 6. 1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5대 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이 가계대출 잔액보다 많아진 '역전현상'이 나타난 가운데 그 격차가 130조원 넘게 벌어졌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지난 달 말 기업대출 잔액은 800조원을 돌파했다.

5개 시중은행의 5월 말 가계대출 잔액은 668조146억원으로, 전월(662조1040억원) 대비 5조원 넘게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대 시중銀 지난달 기업여신 800조 돌파
가계대출과 잔액 격차 130조원으로 ↑

[헤럴드경제=홍승희 기자] 국내 5대 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이 가계대출 잔액보다 많아진 ‘역전현상’이 나타난 가운데 그 격차가 130조원 넘게 벌어졌다.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증가세에 대한 강한 규제를 예고하면서 은행들이 기업대출로 눈을 돌린 결과다. 하지만 공격적인 기업대출에는 항상 건전성 위험이 뒤따르는 만큼, 고정이하여신 비율 증가 등 후폭풍이 예고된다.

기업여신 800조원 돌파, 가계부채와 격차 더 벌어져

6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지난 달 말 기업대출 잔액은 800조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767조3139억원이었던 5개 은행 기업대출 잔액은 1월 770조원, 3월 785조원대를 기록하는 등 매달 ‘쑥쑥’ 증가해 803조3231억원을 시현하는 데 이르렀다.

특히 대기업대출이 기업여신 성장을 주도했다. 5대 은행의 5월 말 대기업 대출 잔액은 154조4665억원으로 전월(151조2220억원) 대비 3조원 넘게 증가했다. 지난 연말(136조4284억원)과 비교하면 반 년도 안 돼 대출잔액이 13.2%(18조381억원)나 급증했다.

소상공인 대출을 포함한 중기대출도 꾸준히 증가세다. 5개 은행의 중기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630조8855억원에서 1월 631조1966억원, 2월 634조9017억원으로 소폭 증가하더니, 지난 달 말 648조8566억원으로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다.

고금리가 이어지며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의 대출 연체액이 1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연합]

이는 가계대출을 압도하는 증가세다. 5개 시중은행의 5월 말 가계대출 잔액은 668조146억원으로, 전월(662조1040억원) 대비 5조원 넘게 증가하는 데 그쳤다. 심지어 지난 3월에는 전달(658조3186억원)보다 소폭 상승한 656조6954억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기업대출이 가계대출 잔액을 넘어서기 시작한 건 2022년 말부터다. 1년 넘게 역전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그 격차가 135조원 이상 벌어진 건 처음이다. 은행들이 가계대출 규제 기조 속에서 기업대출로 대안을 찾은 결과다.

앞서 정부는 가계대출을 경상성장률 범위 내에서 관리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바 있다. 5대 지주는 가계부채 증가율 목표를 2% 이내로 제시했다. 그렇다보니 대출자산 규모를 키울 수 있는 방법이 개인사업자 대출을 포함한 기업여신 뿐인 상황이다.

5대 시중銀 기업여신 연체율 0.35%로 증가

문제는 기업여신이 가계여신보다 더 큰 건전성 우려를 불러온다는 점이다. 회사채 조달이 어려운 기업들이 은행 여신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고금리 지속으로 경기가 어려워질 시 그만큼 부실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은행들은 건전성을 포기할 수 없기 때문에 여전히 소상공인 대출보다는 우량자산 위주의 기업여신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한다”면서도 “주담대 대비 기업여신의 리스크가 더 크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난해부터 각 은행들은 기업여신을 공격적으로 펼치고 있다. 하나은행은 우량자산 중심의 기업여신 증가에 힘쓰며 ‘성성장 후수익’ 전략을 꿰했고, 그 결과 지난해까지 2년 연속 시중은행 중 가장 많은 당기순익을 시현했다. 우리은행은 오는 2027년까지 전체 대출 포트폴리오 가운데 기업대출과 가계대출의 비중을 6:4로 채우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신한은행도 기업여신 잔액을 5개월만에 7%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단 건전성의 경우 여전히 관리 가능하다는 게 은행 측 입장이다. 5대 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단순 평균)은 지난해 1분기 말 0.30%에서 4분기 말 0.31%로 소폭 상승한 뒤 올해 1분기 말 0.35%로 뛰었다.

은행권 관계자는 “그룹사의 연체율 상승은 대부분 비은행 계열사의 브리지론 등에 기인한다”며 “은행 연체율은 소폭 상승에 그쳤다”고 설명했다.

hss@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