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2점→66.4점’ WKBL, 뚝 떨어진 득점력을 올리는 방법

이재범 2024. 6. 6. 08:1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점프볼=이재범 기자] WKBL도 KBL처럼 매 쿼터 종료 2분 이내에서 득점 성공할 때 경기 시간을 멈추는 건 어떨까?

지난 시즌 평균 득점은 66.4점. 2020~2021시즌부터 2022~2023시즌까지 차례로 평균 70.0점, 71.3점, 69.2점이었다. 70점 내외의 득점력이 60점대 중반으로 뚝 떨어졌다.

WKBL은 파울 챌린지를 제외하면 대부분 FIBA 경기규칙을 그대로 적용한다.

KBL도 2014~2015시즌부터 FIBA 경기규칙을 도입했다. 하지만, 일부를 2015~2016시즌부터 NBA 방식의 기존 규칙으로 되돌린 게 있다.

바로 매 쿼터 종료 2분 이내 득점 시 경기 시간을 멈추는 것이다. 대신 하프타임 시간을 15분에서 12분으로 되돌렸다. 이를 통해 전체 경기 소요 시간을 맞췄다.

FIBA 경기규칙을 적용하는 WKBL은 4쿼터와 연장전에서만 종료 2분 이내 득점 시 경기 시간을 멈춘다.

KBL 연감에 나오는 자료에 따르면 2013~2014시즌과 2014~2015시즌, 2015~2016시즌의 정규리그 평균 소요 시간은 각각 1시간 51분과 1시간 49분, 1시간 48분이다.

하프 타임 3분 차이를 고려하면 2013~2014시즌과 2014~2015시즌은 5분, 2014~2015시즌과 2015~2016시즌은 2분의 경기 소요 시간이 차이 난다.

2013~2014시즌은 연장전이 16회로 유독 많았다. 이로 인해 경기 소요 시간이 평소보다 길었다고 볼 수 있다.

우선 최근 4시즌 여자 프로농구 경기 소요 시간을 산출하면 평균 1시간 50분 내외로 KBL과 비슷하다.

◆ WKBL 정규리그 한 경기 평균 소요시간
2023~2024 1시간 50분 41초
2022~2023 1시간 53분 3초
2021~2022 1시간 52분 4초
2020~2021 1시간 49분 31초
※ 경기기록지 소요 시간 기준

만약 WKBL에서 플레이 시간이 1분 늘어나면 얼마나 득점이 향상될까? 최근 4시즌 동안 2점슛과 3점슛, 자유투 시도와 각 성공률을 통해 기대되는 득점 향상 효과는 1.7점 또는 1.8점이다.

◆ 경기시간 1분 향상 시 기대 득점
2023~2024 1.7점
2022~2023 1.7점
2021~2022 1.8점
2020~2021 1.8점

복잡한 계산도 사실 필요 없다. 평균 득점이 70점이라면 1분당 득점은 1.75점이다. 위 득점과 대동소이하다.

KBL의 경우 2014~2015시즌과 2015~2016시즌 평균 득점은 각각 74.3점과 78.8점이다. 다만, 2015~2016시즌은 단신 외국선수 제도가 도입되고, 라운드를 거듭할수록 외국선수 출전 시간이 늘어나 다른 득점 향상 요인이 크다. 이로 인해 쿼터 종료 2분 이내 득점 시 경기시간을 멈췄을 때 기대 득점의 참고 자료로는 부적절하다.

그렇지만, 두 시즌 모두 똑같이 외국선수 1명만 출전한 1라운드 평균 득점은 각각 72.9점과 77.6점으로 4.7점이란 편차를 보였다.

WKBL의 지난 시즌 2~3경기를 다시 봤을 때 득점 허용 후 인바운드 패스를 하는데 빠르면 1초, 3점슛 허용이나 압박을 받아 오래 걸릴 때는 3~4초 정도 걸린다.

1~3쿼터까지 쿼터 종료 2분이면 총 6분이고, 시즌별 기록 기준으로 6분 동안에는 양팀 합계7.5~7.9개(2023~2024시즌 7.5개, 2022~2023시즌 7.8개, 2021~2022시즌과 2021~2022시즌 7.9개)의 야투가 들어간다. 경기시간이 멈추는 자유투는 제외했다.

매 쿼터 종료 2분 전 득점 시 경기 시간을 멈추면 KBL 기록을 참고할 때 약 2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었지만, 득점력이 떨어지는 WKBL은 단순 예측으론 30~40초 즈음 경기 시간이 늘어난다. 이 경우 기대 득점이 1점을 밑돈다. 양팀 합산 득점이 1.7~1.8점이다.

어쩌면 굉장히 적은 득점이지만, 1점의 차이는 박빙의 승부일 경우 경기 막판 흐름을 바꿀 수 있다. 지난 시즌 3~4점 차 승부가 12경기였다. 전체 경기수의 13.3%다. 1점의 차이로 인해 마지막 순간 3점슛 대신 2점슛을 시도하는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포기가 아닌 3점슛이라도 던져볼 의지를 갖게 한다.

지난 시즌 경기 상황을 되짚어보자.

BNK와 하나원큐의 경기에서 쿼터 종료 1.9초를 남기고 자유투를 허용했을 때 긴 아울렛 패스로 득점을 노리는 장면이 나왔다.

하지만, 지난 챔피언결정 3차전 2쿼터 종료 3초를 남기고 김단비가 점퍼를 성공했는데 경기 시간을 흘러가니 그대로 쿼터가 끝났다. 3쿼터 종료 1초 전에도 박혜진이 3점슛을 성공했을 때 역시 마찬가지다.

챔피언결정 2차전 2쿼터 5초를 남기고 최이샘이 골밑 득점을 성공했다. KB는 이어진 공격에서 하프라인도 넘지 못하고 장거리 슛을 시도했다. KB와 하나원큐의 플레이오프 1차전 2쿼터 4.8초 전 허예은이 자유투를 성공했다. 이 때 하나원큐는 3점슛 라인 안까지 치고 들어가 슛을 던졌다.

여러 장면에서 경기 시간이 멈췄을 때와 멈추지 않았을 때 쿼터 마무리가 상당히 다르다는 걸 알 수 있다.

득점했을 때 경기 시간이 멈추면 쿼터 마무리할 때 의미 있는 공격 기회가 생기고, 경기를 지켜보는 팬들에게 긴장감을 불어넣어준다. WKBL에서는 거의 나오지 않는 버저비터도 더 늘어날 수 있다.

쿼터 종료 2분 이내 경기시간을 멈출 때 나오는 효과는 단순 득점 향상 이상의 경기 재미를 부여하는 건 분명하다.

다만, 로컬룰을 도입하는 것이 맞는지 따져봐야 한다. 구단 관계자도, WKBL 관계자도 로컬룰 도입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대신 국제대회 성적을 위해 FIBA 경기규칙을 고수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면 지난 시즌 KBL을 보면서 다시 생각할 필요도 있다.

남자 대표팀이 2000년대 이후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따면 오히려 관중이 줄고, 성적이 좋지 않았을 때 더 많은 관중이 몰리곤 했다. 지난해 아시안게임에서 성적이 좋지 않았음에도 KBL 전체 관중에는 영향이 없을 거라고 예상했고, 실제로 전 시즌 대비 599,572명에서 738,420명으로 더 많은 관중이 몰렸다.

더불어 국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는 가장 큰 밑거름은 원활한 대회 준비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다.

WKBL은 불확실한 국제대회 성적 효과를 기다리는 것보다 당장 현장과 중계를 통해 경기를 지켜보는 팬들이 더 재미있게 느낄 수 있도록 쿼터 종료 2분 이내 득점 시 경기 시간을 멈추는 걸 고민해야 한다. WKBL이 프로라면 말이다.

#사진_ WKBL 제공 

Copyright © 점프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