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란 동영상’에 중독된 아마존 원주민들…“과거로 돌아갈 수 없어”[핫이슈]

송현서 2024. 6. 5. 20: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수백 년 동안 외부 문명과 단절한 채 고유의 문화를 이어온 아마존의 한 원주민 부족이 인터넷을 접한 뒤 고작 1년도 채 되지 않는 짧은 시간 사이에 각종 중독 현상에 시달린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 뉴욕타임스, 뉴욕포스트 등 외신의 2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부족원 약 2000명으로 구성된 마루보족은 아마존 열대우림 깊숙한 곳에 있는 이투이강(江)을 따라 거주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아마존 마루보족 부족원들이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위성 안테나를 설치하고 있다.

수백 년 동안 외부 문명과 단절한 채 고유의 문화를 이어온 아마존의 한 원주민 부족이 인터넷을 접한 뒤 고작 1년도 채 되지 않는 짧은 시간 사이에 각종 중독 현상에 시달린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 뉴욕타임스, 뉴욕포스트 등 외신의 2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부족원 약 2000명으로 구성된 마루보족은 아마존 열대우림 깊숙한 곳에 있는 이투이강(江)을 따라 거주한다.

마루보족 원주민들은 모두 같은 성(姓)과 고유의 언어를 사용한다. 거미 원숭이로 스프를 만들거나 이를 반려동물로 키우기도 하고, 숲의 정령을 신으로 모시는 등 독특한 문화를 간직해 왔다.

마루보족 사람들은 본래 모두 모인 자리에서 연인끼리 입을 맞추는 것도 꺼려하는 보수적인 원주민이었다.

아마존 마루보족 부족원들이 인터넷을 처음 접한 것은 2023년 중반이었다. 미국의 한 기업가가 스타링크 사용을 위한 안테나를 기증하면서부터다.

그러다 9개월 전인 지난해 가을경, 마루보족 사람들에게 신세계가 펼쳐졌다.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가 마루보족 부족원들에게 제공되기 시작한 것이다.

스타링크는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개발한 인터넷 서비스로, 저궤도에 1만 2000여대의 위성을 띄워 전 세계에 인터넷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 미국인 기업가의 기증을 통해 스타링크 인터넷을 접한 부족원들은 문명의 편리함에 감탄을 금치 못했다. 예컨대 위급 상황에서 서로에게 연락해 도움을 받을 수도 있었고,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랑하는 가족과 화상 채팅도 가능했다.

그러나 인터넷 사용은 예상된 문제점들도 야기했다. 부족 내부에서 온라인 도박이나 폭력적인 비디오 게임, 성인 음란물에 중독된 원주민이 생겨난 것이다.

부족의 일원인 아르페도 마루보는 뉴욕포스트에 “많은 젊은이들이 포르노 비디오를 공유하고 있다. 일부는 ‘공격적인 성적 행동’을 찾아보기도 했다”면서 “우리는 젊은이들이 폭력적인 콘텐츠에 나오는 행동을 따라하고 싶어할까봐 걱정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부족원인 차이나마 마루보(73)는 “처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을 때 모두가 행복했다”면서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더 나빠졌다. 젊은인들은 인터넷 때문에 게을러졌고, 백인들의 방식을 배우고 있다”고 토로했다.

아마존 마루보족 부족원들이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위성 안테나를 설치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인터넷의 보급이 성(性)적 관념과 예절에 대한 기준을 바꿔놓았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이용하느라 도리어 가족과 대화하지 않고 일도 꺼려하는 등 사회 구성원간의 단절 현상까지 유발했다는 지적을 내놨다.

이에 현재 미루보족 지도자들은 인터넷 접속 규칙을 만들었고, 부족원들은 ‘매일 아침 2시간, 저녁 5시간, 일요일 하루 종일’ 이라는 이용 수칙을 지켜야 한다.

뉴욕타임스는 “(인터넷 사용 규정이 만들어졌지만) 이미 많은 부족원이 ‘인터넷의 신세계’를 경험한 만큼, 이전으로 돌아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인터넷은 현 시대에 필수적인 것이지만 그로 인해 치러야 할 대가도 분명히 있다”고 지적했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