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각 모두 잃는 유전 질환 '어셔증후군', 유전자 돌연변이 형태 따라 증상·중증 여부 달라

권대익 2024. 6. 5. 19: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청각과 시각을 모두 잃는 난치성 유전병인 ‘어셔증후군’의 청각학적 및 망막 증상과 중증도가 유전자 돌연변이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 유전형에 따라 질병 진행을 예측하고 맞춤형 치료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연 서울대병원 소아이비인후과 교수·조동현 서울대 의대 해부학교실 교수 공동 연구팀이 국내 어셔증후군 Ⅱ 환자를 대상으로 USH2A 유전자 돌연변이 형태(유전형)와 임상 표현형의 상관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다.

어셔증후군은 8,000명 정도의 환자가 국내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증상과 발병 시기에 따라 3가지 유형(Ⅰ~Ⅲ)으로 나뉜다.

이 중 가장 흔한 어셔증후군 Ⅱ 유형은 소리 감지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중등도 이상의 감각신경성 난청이 선천적으로 동반되며, 광수용체 세포 기능 저하로 실명까지 이어지는 망막 색소 변성이 10대 이후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어셔증후군Ⅱ는 주로 USH2A 유전자 돌연변이를 부모 양쪽에서 물려받는 열성 유전을 통해 자녀에게 이어진다.

이 질환을 비롯한 일부 유전 질환은 우·열성 위계를 갖는 대립 유전자의 계층 구조에 따라 증상과 중증도 등 임상 표현형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지금껏 국내에서 어셔증후군 Ⅱ 환자를 대상으로 유전형에 따른 임상 표현형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절단형 변이 보유 여부에 따른 청력 비교. 절단형 변이를 1개 이상 보유한 환자군(연회색)은 각 주파수에서 평균 청력 역치가 더 높았음.

연구팀은 유전형을 파악하기 위해 USH2A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어셔증후군 Ⅱ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전장 엑솜 및 유전체 분석을 시행한 뒤 유전형별로 임상 표현형을 분석하기 위해 ‘절단형 변이’ 보유 여부에 따라 환자 유전형을 구분했다.

절단형 변이란 단백질 합성이 끝났음을 알리는 종결 코돈이 일찍 형성되면서 생성되는 돌연변이로, 심각한 기능 소실로 이어질 수 있다.

절단형 변이 보유자는 난청이 더 일찍 발생했고, 모든 주파수에서 평균 청력 역치(인식 가능한 가장 작은 소리 크기)가 더 높았다. 특히 절단형 변이 2개 그룹이 1개 그룹보다 평균 청력 역치가 높았으며, 이는 절단형 변이가 더 심각한 청력 손실과 관련돼 있음을 뜻한다.

절단형 변이 보유 여부에 따른 망막 기능 비교. 절단 변이를 1개 이상 보유한 환자군(연회색)은 광수용체 세포 반응 수준이 더 낮고(왼쪽), 시야가 더 좁음(오른쪽).

USH2A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망막 표현형은 16세 이상 환자에게서만 확인됐는데, 이 중 절단형 변이 보유자는 시세포 기능 감소·시야 축소 등 망막 기능이 더 심하게 저하된 양상을 보였으며 망막의 구조적인 퇴화도 심했다.

또한 연구팀은 평균 청력 역치가 높을수록 망막 전위도 검사(ERG)에서 빛 자극에 대한 광수용체 세포 반응 시간이 짧아지는 상관관계를 확인했다. 이런 상관성은 절단 변이 보유 그룹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절단형 변이 여부에 따라 어셔증후 군Ⅱ 환자의 청각학적 및 망막 표현형의 중증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 같은 유전형과 임상 표현형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질병 예후를 예측하고 유전자 치료를 포함한 환자별로 적절한 치료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한편, 연구팀은 유전자 분석을 통해 어셔증후군 Ⅱ 발병과 관련된 18개의 USH2A 유전자 변이를 확인했으며 그중 4개는 이번 연구에서 최초로 알아낸 새로운 변이였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USH2A 대립 유전자 계층 구조에 따른 어셔증후군 Ⅱ 임상 표현형의 뚜렷한 차이를 확인했다”며 “어셔증후군 환자의 맞춤형 치료나 유전자 치료에 이번 연구 결과가 근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실렸다.

청각과 시각을 모두 잃는 난치성 유전병인 ‘어셔증후군’의 청각학적 및 망막 증상과 중증도가 유전자 돌연변이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 유전형에 따라 질병 진행을 예측하고 맞춤형 치료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연 서울대병원 소아이비인후과 교수·조동현 서울대 의대 해부학교실 교수 공동 연구팀이 국내 어셔증후군 Ⅱ 환자를 대상으로 USH2A 유전자 돌연변이 형태(유전형)와 임상 표현형의 상관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다.

어셔증후군은 8,000명 정도의 환자가 국내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증상과 발병 시기에 따라 3가지 유형(Ⅰ~Ⅲ)으로 나뉜다.

이 중 가장 흔한 어셔증후군 Ⅱ 유형은 소리 감지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중등도 이상의 감각신경성 난청이 선천적으로 동반되며, 광수용체 세포 기능 저하로 실명까지 이어지는 망막 색소 변성이 10대 이후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어셔증후군Ⅱ는 주로 USH2A 유전자 돌연변이를 부모 양쪽에서 물려받는 열성 유전을 통해 자녀에게 이어진다.

이 질환을 비롯한 일부 유전 질환은 우·열성 위계를 갖는 대립 유전자의 계층 구조에 따라 증상과 중증도 등 임상 표현형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지금껏 국내에서 어셔증후군 Ⅱ 환자를 대상으로 유전형에 따른 임상 표현형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연구팀은 유전형을 파악하기 위해 USH2A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어셔증후군 Ⅱ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전장 엑솜 및 유전체 분석을 시행한 뒤 유전형별로 임상 표현형을 분석하기 위해 ‘절단형 변이’ 보유 여부에 따라 환자 유전형을 구분했다.

절단형 변이란 단백질 합성이 끝났음을 알리는 종결 코돈이 일찍 형성되면서 생성되는 돌연변이로, 심각한 기능 소실로 이어질 수 있다.

절단형 변이 보유자는 난청이 더 일찍 발생했고, 모든 주파수에서 평균 청력 역치(인식 가능한 가장 작은 소리 크기)가 더 높았다. 특히 절단형 변이 2개 그룹이 1개 그룹보다 평균 청력 역치가 높았으며, 이는 절단형 변이가 더 심각한 청력 손실과 관련돼 있음을 뜻한다.

USH2A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망막 표현형은 16세 이상 환자에게서만 확인됐는데, 이 중 절단형 변이 보유자는 시세포 기능 감소·시야 축소 등 망막 기능이 더 심하게 저하된 양상을 보였으며 망막의 구조적인 퇴화도 심했다.

또한 연구팀은 평균 청력 역치가 높을수록 망막 전위도 검사(ERG)에서 빛 자극에 대한 광수용체 세포 반응 시간이 짧아지는 상관관계를 확인했다. 이런 상관성은 절단 변이 보유 그룹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절단형 변이 여부에 따라 어셔증후 군Ⅱ 환자의 청각학적 및 망막 표현형의 중증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 같은 유전형과 임상 표현형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질병 예후를 예측하고 유전자 치료를 포함한 환자별로 적절한 치료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한편, 연구팀은 유전자 분석을 통해 어셔증후군 Ⅱ 발병과 관련된 18개의 USH2A 유전자 변이를 확인했으며 그중 4개는 이번 연구에서 최초로 알아낸 새로운 변이였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USH2A 대립 유전자 계층 구조에 따른 어셔증후군 Ⅱ 임상 표현형의 뚜렷한 차이를 확인했다”며 “어셔증후군 환자의 맞춤형 치료나 유전자 치료에 이번 연구 결과가 근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실렸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