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 KAI, 공군사관학교와 미래 항공우주전력 공동연구 인재양성 교류 확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남 사천 소재 KAI(한국항공우주산업㈜)는 공군사관학교와 손잡고 미래 항공우주전력 개발을 위한 기술 협력과 학술 정보를 교류하고 공동 인재 양성에 나선다.
KAI 강구영 사장은 "대한민국 공군의 미래인 공군사관학도생들과 항공우주·국방 분야를 공동연구하고 차세대 첨단 무기체계의 청사진을 함께 그리길 기대한다"며 "KAI의 항공기 개발 경험과 공군사관학교의 우수한 인적자원의 교류를 통해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남 사천 소재 KAI(한국항공우주산업㈜)는 공군사관학교와 손잡고 미래 항공우주전력 개발을 위한 기술 협력과 학술 정보를 교류하고 공동 인재 양성에 나선다.
KAI는 5일 충청북도 청주시 공군사관학교 안중근 홀에서 공군사관학교와 ‘미래 국방분야 공동연구와 인적자원 상호교류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KAI 강구영 사장과 공군사관학교장 공승배 소장을 비롯해 주요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양기관은 이번 합의서를 기반으로 미래 첨단 항공무기체계 개발·운영을 위한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공군전력의 미래 발전 발전 방향을 논의할 계획이다.
인재 양성을 위해 공군사관학교 교수진과 KAI 국산 항공기 개발 현장의 엔지니어 간 인적 교류를 확대하고 국내 학술 활동을 공동으로 추진하는 등 양기관의 전문 분야를 활용한 교류를 확대할 예정이다.
국산 미래 항공 무기체계 사용자인 사관 생도들의 의견을 개발 현장에 반영하고 미래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으로써 상호 니즈를 공유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가 기대된다.
KAI 강구영 사장은 “대한민국 공군의 미래인 공군사관학도생들과 항공우주·국방 분야를 공동연구하고 차세대 첨단 무기체계의 청사진을 함께 그리길 기대한다”며 “KAI의 항공기 개발 경험과 공군사관학교의 우수한 인적자원의 교류를 통해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KAI는 협력의 일환으로 올해부터 공군사관학교와 KAIST 주관으로 운영 중인 ‘미래항공우주 학술대회’를 통해 사관생도와 일반 대학생들의 항공우주 연구 활성화를 지원한다.
공군사관학교와 KAIST 2017년부터 사관생도와 민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미래 항공우주 분야 발전 방향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장으로 매년 ‘미래항공우주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KAI는 항공우주분야 관련 기관 간 학술교류 확대의 초석을 마련하기 위해 학술대회에 적극 참여하고 특별상 시상 지원과 민간 대학 수상인원의 KAI 입사 우대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MOU 체결 이후 강 사장은 사관생도들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과 New Aerospace 시대를 준비하는 KAI의 비전과 전략 소개하는 특강을 진행했다.
강 사장은 특강을 통해 KF-21 기반의 차세대공중전투체계와 발전 방향, 미래 6대 사업 등을 소개하고 조종사 출신으로서 느끼는 국산항공기 개발·제작·마케팅 현장 경험을 공유했다. 이번 특강에는 공군사관학도생 800여 명이 참석했다.
강 사장 특강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등장 이후 미래 전장의 개념이 혁신적으로 바뀌고 있다”며 “오늘 소개하는 차세대공중전투 체계 등 미래 항공우주전력은 신개념 무기체계로 개발과 운영을 위해서는 미래 공군의 주역이 될 생도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동수 기자(=사천)(kdsu21@naver.com)]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부 손 내밀었는데, 전공의 "정부에 1000억 손배 청구할 것"
- 문재인, 김정숙 인도 순방 논란에 작심 반박…"치졸한 시비, 민망하고 한심"
- 이재명, 9.19 효력정지에 "분풀이엔 좋겠지만…결국 우리집이 불안"
- UN의 최종 권고 "여가부 폐지 철회하고 빨리 정상화해야"
- 권영세 "어떤 때는 당원 100%, 어떤 땐 민심 반영? 헷갈리지 않나"
- 22대 국회 개원, 초반에 쏟아진 '1호 법안'들 보니…
- "22대 국회, 尹 거부권 막힌 과제 처리하고 기후위기 대비해야"
- 성폭력 지원센터 이용자 중 19세 미만 성폭력 피해자가 40%
- 정부 의정갈등 출구전략 내놨지만…전공의들 "복귀는 없다"
- 종부세 완화 논란에 선 그은 민주당…"공식 논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