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이민정책' 본격 논의…전문가 참석 포럼 개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 김포시가 서울대와 함께 이민정책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2024 김포시 이민정책 포럼-김포: 이민정책의 새로운 시작을 여는 문'을 개최했다.
시에 따르면 이번 포럼은 이민관리청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고, 외국인과 이민정책의 필요성, 이민관리청 유치를 위해 시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기 김포시가 서울대와 함께 이민정책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2024 김포시 이민정책 포럼-김포: 이민정책의 새로운 시작을 여는 문'을 개최했다.
시에 따르면 이번 포럼은 이민관리청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고, 외국인과 이민정책의 필요성, 이민관리청 유치를 위해 시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다.
김병수 시장은 4일 열린 포럼에서 "우리 사회는 저성장, 저출생, 경제구조 등 갈등이 많은데 특히 인구감소는 국가의 존폐를 흔들 만큼 위협적인 요소"라며 "이를 극복하고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키워드가 '상호문화와 상생'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오늘 첫 자리를 맞은 우리 포럼이 정부와 발맞춰 우리가 당면할 미래 문제를 공론화하고 담론을 나누는 장으로 김포이민정책포럼이 역할을 키워가도록 하겠다"며 의의를 밝혔다.
국민의힘 인요한 의원은 축사를 통해 "이민정책을 관리할 곳이 필요하다는 것을 아주 오래전부터 절실히 느껴왔다. 김포가 이민청 유치의 공론화 장을 먼저 열어 확실한 명분을 세웠다. 김포 홍보대사로도 상당한 자부심을 갖고,김포시와 함께 할 것을 약속드린다"며 응원을 보냈다.
이날 전체 포럼은 SBS 조민호 아나운서의 사회로 진행됐다. 좌장은 서울대 김동욱 교수가 맡았다. 주제 발제에 나선 문병기 한국이민정책학회장은 '이민청 설립의 필요성 및 조직과 기능에 대한 제언'에서 "현재 진행 중인 인구위기 및 지역소멸 위기에 대한 현실적 해답은 이민정책 뿐"이라며 "변화하는 사회환경과 시대적 사명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열린 시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고, 국민 및 주민의 적극적 협조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임동진 순천향대 교수는 주요 선진국의 이민정책 흐름과 외국인 인력 정책 등을 소개했다. 임 교수는 "세계적인 저출산 추세에 많은 국가들이 일할 수 있는 젊은 인재들을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이민을 받고 있다"며 "우리도 선진국의 이러한 방식을 참고해 중장기적 계획을 수립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포시는 출입국·이민관리청 유치를 위해 지난해 4월 TF를 구성하고, 5월 법무부장관을 만나 유치 의사를 전달했다. 같은 해 11월 법무부와 국민통합위원회에 유치제안서를 전달했다. 현재 김포시는 출입국·이민관리청 유치를 위한 연구용역과 함께 범시민 참여운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김포시는 재외동포가 아닌 다양한 국적의 이주민이 살고 있는 수도권의 대표적 상호문화도시로 공항과 서울이 인접해 있을 뿐 아니라 편리한 교통으로 이민정책 공무 수행에 있어 최적의 입지로 손꼽히고 있다. 미래형 교통특화도시 설립과 첨단산업단지 조성이 예정돼 있으며, 7개의 대규모 산단을 포함한 11개 산단과 7568개의 기업체 보유하고 있다. 특히 숙련가능인력 비자과 비전문취업비자 인력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것도 이민관리청 유치의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안순혁 기자(wasswin@naver.com)]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부 손 내밀었는데, 전공의 "정부에 1000억 손배 청구할 것"
- 문재인, 김정숙 인도 순방 논란에 작심 반박…"치졸한 시비, 민망하고 한심"
- 이재명, 9.19 효력정지에 "분풀이엔 좋겠지만…결국 우리집이 불안"
- UN의 최종 권고 "여가부 폐지 철회하고 빨리 정상화해야"
- 권영세 "어떤 때는 당원 100%, 어떤 땐 민심 반영? 헷갈리지 않나"
- 22대 국회 개원, 초반에 쏟아진 '1호 법안'들 보니…
- "22대 국회, 尹 거부권 막힌 과제 처리하고 기후위기 대비해야"
- 성폭력 지원센터 이용자 중 19세 미만 성폭력 피해자가 40%
- 정부 의정갈등 출구전략 내놨지만…전공의들 "복귀는 없다"
- 종부세 완화 논란에 선 그은 민주당…"공식 논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