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게양 문화 사라질 판…"3개월 동안 1장 팔려"

안정훈 2024. 6. 5. 18: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누가 요즘 국기를 걸기는 하나요."

5일 서울 지하철 4호선 종로3가역 뒤편의 일명 '휘장 골목'에서 만난 상인 송태백 씨(66)는 "요즘 국가 기관에서 도매로 구매하는 것 말곤 태극기가 거의 판매되지 않는다"고 털어놨다.

서울 신설동에서 148㎡(약 45평) 규모의 매장을 운영하던 그는 줄어든 태극기 수요에 따라 몇 해 전 관수동 49㎡(약 15평)의 점포로 옮겨왔지만, 여전히 판매는 부진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충일 앞둔 종로3가 휘장 골목
6개 남은 전문점엔 인적 끊겨
임차료도 못내 폐업 직전 상황
"태극기 내건 집 보기 힘들어"
현충일을 하루 앞둔 5일 썰렁한 종로3가 휘장 골목.

“누가 요즘 국기를 걸기는 하나요.”

5일 서울 지하철 4호선 종로3가역 뒤편의 일명 ‘휘장 골목’에서 만난 상인 송태백 씨(66)는 “요즘 국가 기관에서 도매로 구매하는 것 말곤 태극기가 거의 판매되지 않는다”고 털어놨다.

이곳은 1950년대부터 태극기 상권으로 유명했다. 20년 전엔 상패와 명패, 각종 휘장을 팔면서 태극기도 제작·판매하는 업체가 100여 곳에 달했다. 지금은 상점이 60여 곳으로 줄었고, 태극기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업체는 6곳에 불과하다. 현충일을 하루 앞뒀지만 대부분의 상점은 문을 닫은 상태였다.

40년간 이곳에서 태극기를 팔았다는 상인 A씨는 “가정에 게양할 용도로 태극기를 사가는 손님은 사라지다시피 했다”며 “1988년 서울올림픽과 2002년 월드컵 때는 태극기를 대량으로 들여와도 오전 몇 시간 새 매진되던 시절이 있었다”고 말했다. A씨는 3·1절과 현충일 등 국경일 당일엔 인근 아파트 단지를 방문해 태극기를 얼마나 걸었는지 살펴보곤 한다. 20여 년 전엔 국경일에 ‘다섯 집 중 한 집’이 태극기를 걸었지만, 요즘엔 아파트 단지 전체에 태극기를 건 곳이 단 한 가구도 없는 곳이 많다고 했다. 그는 “태극기 수요가 줄다 보니 임차료도 내지 못할 정도가 돼 폐업을 고민 중”이라고 했다.

종로3가역 인근에서 태극기를 포함한 다양한 깃발을 제작·판매 중인 이래원 플래그몰 대표(80)는 2000년대 초 가게 문을 열었다. 서울 신설동에서 148㎡(약 45평) 규모의 매장을 운영하던 그는 줄어든 태극기 수요에 따라 몇 해 전 관수동 49㎡(약 15평)의 점포로 옮겨왔지만, 여전히 판매는 부진하다.

이 대표는 “온라인으로도 안 팔리긴 마찬가지”라고 했다. 주요 온라인쇼핑몰에 판매 페이지를 열었지만, 최근 석 달간 단 한 건만 판매됐다.

태극기 상인들은 “신축 아파트엔 사실상 태극기를 걸 수도 없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타워형 건물과 통유리 설계가 확산하면서 국기 게양대를 설치할 곳이 없어졌다는 것이다. 한 건설회사 관계자는 “여닫이 창호가 사라지고, 창문 상하를 나눠 아래쪽은 난간 역할을 하는 ‘입면 분할 창호’가 늘면서 주민이 문을 열어 태극기를 꽂는 것 자체가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

황선기 태극기선양회 회장은 “이대로라면 태극기 게양을 통해 국경일의 의미를 되새기는 문화가 사라지고 말 것”이라고 우려했다.

안정훈 기자 ajh6321@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