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여년 만에 가족 품으로 돌아간 6·25 전사자…DNA가 연결고리

허백윤 2024. 6. 5. 18:2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신원 확인 작업 ‘탄력’
유전자 확보·분석 기술 발달로 확인율 높여
과거 신원 확인 실패했어도 ‘그룹 타깃팅’으로 재분석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감정관이 6·25 전사자의 유전자를 분석하고 있는 모습.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제공

‘그들을 조국의 품으로….’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내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 입구에 크게 적힌 단훈은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용사들을 끝까지 책임지고 조국과 가족의 곁으로 돌려보낸다는 책임감을 담고 있다. 6·25전쟁 당시 꽃다운 나이에 참전했다 목숨을 잃은 국군 전사자는 총 16만여명. 전쟁 직후 수습된 용사들을 빼고 아직 12만여명이 산야에 홀로 잠들어 있다. 2000년 6·25 전사자 유해 발굴이 시작된 뒤 군이 수습한 국군 유해는 1만 1349구이며, 이 중 이름과 가족을 되찾은 용사는 5일 기준 233명에 불과하다. 아직 갈 길이 너무 멀다.

다만 최근 전사자 유가족 찾기에 부쩍 속도가 붙었다. 박정현 유전자분석과장은 “유해 발굴과 감식, 유전자 분석이 한 공간에서 이뤄지는 효율적인 시스템을 갖춘 데다 과거보다 DNA 추출과 유전자 증폭(PCR) 기술이 발전하면서 신원 확인 작업이 탄력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2007년 국유단이 출범한 뒤에도 유해 발굴과 감식은 국유단에서, 유전자 분석은 국방부 조사본부에서 이뤄졌다. 2020년에 모든 작업이 통합되면서 그전에는 매년 7~9명에 그쳤던 전사자 신원 확인 수가 2020년 19건, 2021년 24건, 2022년 23건, 지난해 22건으로 늘어났다.

6·25 전사자의 신원과 가족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유가족이 유전자 시료를 채취하는 모습.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제공

기술이 좋아져 70년 안팎을 땅에 묻혀 뼈만 남은 유해에서 이전보다 더 많은 양의 DNA를 추출할 수 있게 된 것도 변화다. 전사자의 신원은 DNA에 염기서열이 반복되는 부분에서 특정 변이의 형태나 연쇄 반복 횟수 등으로 가족관계를 확인하면서 이뤄진다. 상염색체와 Y염색체, 미토콘트리아 등도 종합 분석한다.

국유단은 과거에 가족관계를 확인하지 못한 전사자들의 유전자도 ‘그룹 타깃팅’을 통한 데이터베이스 재분석으로 신원확인율을 더욱 높이려고 한다. ‘그룹 타깃팅’은 전사자가 많았던 특정 지역에서 발굴된 유해의 유전자 150~200건을 다시 분석하는 것이다. 지난 3월 ‘횡성 전투(1951년 2월)’ 전사자들의 유해를 최신 기술로 재분석하면서 고 오용순 일병과 김희선 일병 등이 가족 품으로 돌아갔다.지난 3월 ‘횡성 전투’(1951년 2월) 전사자들의 유해를 최신 기술로 재분석하면서 10여년 전 신원 확인에 실패했던 고 오용순 일병과 김희선 일병 등이 가족 품으로 돌아갔다.

임정민 감식관은 “감식 과정에서 유품과 유해 발굴 정황, 유해 형태의 특징 등으로 전사자의 많은 사연을 읽게 된다”며 “작은 가능성이라도 있다면 한 번 더 분석해 유가족을 찾아드리고 싶고, 직접 유해를 감식한 전사자가 나중에 가족 품으로 돌아갔다는 소식을 들을 때 가장 기쁘다”고 말했다.

국유단 관계자들은 점점 시간이 흘러 6·25 전사자 가족을 찾는 세대가 달라지게 될 경우를 고심하고 있다. 지금까진 주로 전사자의 형제나 자녀, 조카 등이 가족관계 확인을 요청했는데, 그 이후 세대의 경우 자신이 유가족인지조차 모르는 경우도 많다는 것이다. 박 과장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으로 친·외가 8촌까지 분석이 가능해졌다”며 “유가족들의 시료 채취 등 가족을 찾기 위한 노력도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당신을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 - 5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형인 전병섭 하사의 유해를 서울현충원에 먼저 묻힌 동생 전병화 이등상사와 함께 안장하는 호국의 형제 안장식이 열려 유가족, 신원식 국방부 장관 등 참석자들이 묵념하고 있다. 2024.6.5 연합뉴스

취재를 위해 유해감식실과 유전자분석실을 방문한 기자도 전사자 유전자 분석 때 혼동을 줄이기 위해 이날 타액으로 시료를 채취하고 유전자 검사에 동의했다. 같은 방법으로 전사자 6만 8000여명의 유가족 DNA가 국유단에 보관돼 있다. 1분도 안 걸리는 간편한 과정이지만 70여년간 헤어진 가족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실낱같은 희망이다.

이날 신원식 국방부 장관 주관으로 여섯 번째 ‘호국의 형제’ 안장식이 진행됐다. 형인 전병섭 하사(현 계급 상병)의 유해가 수습돼 1959년 서울현충원에 먼저 묻힌 동생 전병화 이등상사(중사)의 곁에 잠들게 됐다. 6·25 전쟁에 모두 참여한 3형제 중 유일하게 살아 돌아온 차남 전병철 일등중사(하사)가 생전에 남긴 유전자 시료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전 일등중사의 유해는 이천호국원에 잠들어 있다.

허백윤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