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파리 양식장으로 변한 새만금 방조제…"해수유통 고려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새만금 방조제 인근에 창궐한 해파리 떼로 어민들의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본부는 "해수 유통이 이뤄지지 않고 해류가 일정한 새만금 방조제는 해파리 유생의 주요 서식지가 됐다"며 "전북특별자치도와 정부는 해파리 양식장으로 변한 새만금호 문제를 심각하게 여기고 상시 해수 유통을 포함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창=연합뉴스) 정경재 기자 = 새만금 방조제 인근에 창궐한 해파리 떼로 어민들의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새만금 상시해수유통을 위한 전북도민 서명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는 5일 논평을 통해 "불어난 해파리 유생(폴립)으로 어업 피해가 지속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운동본부는 "그물에 줄줄이 올라오는 해파리 떼로 고창과 부안지역 어민들은 현재 조업에 손을 놓고 있다"라며 "새만금 방조제 내에서 대량 서식하는 해파리 떼가 배수갑문이 열리는 시점에 방조제 밖으로 쏟아져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북도와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 등 지자체는 2010년부터 해양환경공단과 협력해 방조제 내 해파리 유생 제거에 나섰으나 피해는 여전히 막대한 상황"이라며 "해파리는 어구 손상, 수산물 품질 저하, 해수욕객 쏘임 사고 등을 일으켜 연간 3천억원에 이르는 피해를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운동본부는 "해수 유통이 이뤄지지 않고 해류가 일정한 새만금 방조제는 해파리 유생의 주요 서식지가 됐다"며 "전북특별자치도와 정부는 해파리 양식장으로 변한 새만금호 문제를 심각하게 여기고 상시 해수 유통을 포함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jaya@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청주서 60대 남성, 주상복합 등 3곳 방화 후 저수지 투신사망(종합) | 연합뉴스
- "추행당한 건 거짓말" 친딸 진술 번복했지만…40대 아빠 중형 | 연합뉴스
- 고속도로서 경찰관 10m 끌고 간 혐의로 기소된 운전자 1심 무죄 | 연합뉴스
- 대구 '안전조치 여성' 살해 40대, 도주 나흘 만에 검거(종합2보) | 연합뉴스
- "당근하려다 495만원 날려"…문고리 거래 사기 주의보 | 연합뉴스
- "다단계 하청구조 속 고 김충현 노동자 임금 반토막" | 연합뉴스
- 서귀포 새섬 인근서 파도에 휩쓸린 60대 숨져 | 연합뉴스
- 무면허 만취 운전하다 '쾅'…모면하려 동생 주민등록번호 '술술' | 연합뉴스
- 인제 곰배령 정상 인근서 쓰러진 50대 숨져 | 연합뉴스
- "통일을 생각해서"…철책 넘어 두번째 월북 시도한 20대 검거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