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아진 이직” 재작년 416만명 일자리 옮겨… 중소→대기업 이직 12%

세종=박소정 기자 2024. 6. 5. 13: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재작년 일자리를 옮긴 근로자가 416만명에 달해, 1년 전보다 이직이 잦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직장을 옮긴 근로자는 전체 이직자들의 12%를 차지했다.

재작년 일자리를 옮긴 임금근로자 233만7000명(일용 및 특수형태 근로자 제외) 중 65.1%는 이전보다 임금이 증가한 일자리로 옮겼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2022년 일자리이동통계’ 발표
“최근 5년, 이직 활발해지고 유지 감소”
20대서 이직률 높아… 40대는 유지해
65.1% 임금 더 많이 주는 곳으로 이직

재작년 일자리를 옮긴 근로자가 416만명에 달해, 1년 전보다 이직이 잦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직장을 옮긴 근로자는 전체 이직자들의 12%를 차지했다. 1년 전보다는 1%포인트(p) 늘어난 수치지만, 정부가 ‘역동 경제’를 통해 북돋고자 하는 ‘계층 간 이동’은 여전히 제한된 모습이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2022년 일자리이동통계’에 따르면 재작년 4대 사회보험(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산재보험)에 가입된 등록 취업자 수는 2605만7000명으로 전년(2549만명)보다 2.2%(56만7000명) 증가했다.

지난 4월 9일 서울 청계천에서 점심시간 직장인 및 관광객들이 산책을 하고 있다. /뉴스1

등록 취업자는 ▲새롭게 사회보험에 가입한 ‘진입자’ ▲동일한 직장에 재직 중인 ‘유지자’ ▲직장을 옮긴 ‘이동자’로 구분된다. 재작년 진입자 수는 391만1000명으로 전년 보다 2.9%(11만6000명) 감소했고, 유지자는 1798만7000명으로 2.8%(48만6000명) 늘었다.

이동자는 415만9000명으로 5%(19만7000명) 늘었다. 통계청은 “최근 5년간 흐름을 보면 일자리 이동, 즉 이직은 점차 활발해지는 추세”라며 “유지자는 감소하고 있다”고 했다.

이직률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20대였다. 29세 이하(22.1%), 30대(16.6%), 60세 이상(14.7%) 순으로 이직률이 높았고, 동일 일자리 유지율은 40대(76.2%), 50대(75.6%), 30대(70.8%)에서 높았다.

재작년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의 이동률은 12%였다. 중소기업 이동자 총 2983명 중 359명이 대기업으로 이직했다. 2021년(11%)보다 1%p 올랐다. 중소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이직하는 비율은 81.9%에 달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2022 일자리이동통계 결과. /통계청 제공

더 많은 보수를 주는 일자리로의 이동이 늘었다. 재작년 일자리를 옮긴 임금근로자 233만7000명(일용 및 특수형태 근로자 제외) 중 65.1%는 이전보다 임금이 증가한 일자리로 옮겼다. 임금이 이전보다 줄어든 곳으로 옮긴 임금근로자는 34%였다. 임금이 증가한 일자리로의 이동률은 전년 대비 2.7%p 올랐고, 임금이 감소한 일자리로의 이동률은 2.5%p 하락했다.

이번 일자리 통계는 정부가 역점으로 내걸고 있는 ‘역동 경제’의 참고 지표로서 의미가 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 1일 역동 경제의 한 축으로 ‘사회 이동성 개선’ 방안을 내세웠다. 사회 전반에서의 ‘계층 이동 사다리’가 사라진 것이 우리나라 경제의 역동성을 떨어뜨린다는 문제 인식에 따라 마련된 방안들이 담겼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