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디 대형 전기 SUV 'Q8 e트론' 신형 국내 출시…1억860만원부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우디 e-트론'의 부분 변경 모델인 '더 뉴 아우디 Q8 e-트론'은 날렵하고 세련된 디자인과 역동적인 주행 성능, 최신 기술과 편의 기능을 모두 갖춘 '아우디 DNA'가 집약된 순수전기SUV이다.
더 뉴 아우디 Q8 50 e-트론 콰트로의 가격은 1억860만원, 아우디 Q8 55 e-트론 콰트로는 1억2천6만원, 아우디 Q8 55 e-트론 콰트로 프리미엄은 1억3천160만원, 아우디 Q8 스포트백 55 e-트론 콰트로는 1억2천460만원, 아우디 Q8 스포트백 55 e-트론 콰트로 프리미엄은 1억3천560만원, 아우디 SQ8 스포트백 e-트론은 1억5천460만원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김재성 기자)아우디코리아가 대형 프리미엄 순수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더 뉴 아우디 Q8 e-트론’과 ‘더 뉴 아우디 Q8 스포트백 e-트론’, 그리고 아우디 Q8 e-트론의 고성능 모델인 ‘더 뉴 아우디 SQ8 스포트백 e-트론’을 한국 시장에 출한다고 5일 밝혔다. 판매는 오는 10일부터 시작한다.
‘아우디 e-트론’의 부분 변경 모델인 ‘더 뉴 아우디 Q8 e-트론’은 날렵하고 세련된 디자인과 역동적인 주행 성능, 최신 기술과 편의 기능을 모두 갖춘 ‘아우디 DNA’가 집약된 순수전기SUV이다.
더 뉴 아우디 Q8 50 e-트론 콰트로의 가격은 1억860만원, 아우디 Q8 55 e-트론 콰트로는 1억2천6만원, 아우디 Q8 55 e-트론 콰트로 프리미엄은 1억3천160만원, 아우디 Q8 스포트백 55 e-트론 콰트로는 1억2천460만원, 아우디 Q8 스포트백 55 e-트론 콰트로 프리미엄은 1억3천560만원, 아우디 SQ8 스포트백 e-트론은 1억5천460만원이다.
신형 Q8 e트론은 50 e트론 콰트로와 55 e트론 콰트로의 기본형과 고가 트림으로, 스포트백 모델은 55 e트론 콰트로의 기본형과 고가 트림으로 살 수 있다. SQ8 e트론은 단일 트림이다. 한 번 충전으로 신형 Q8 e트론은 298~368㎞(복합기준), 스포트백은 351㎞, 고성능 모델은 303㎞ 주행 할 수 있다.
더 뉴 아우디 Q8 e-트론은 114㎾h의 리튬이온배터리 용량을 탑재했다. 배터리는 배터리셀 12개로 구성된 모듈 36개로 만들었다. 완속·급속 충전이 가능하며 급속 시 최대 170㎾ 출력으로 충전 가능하다. 조수석 쪽으로 추가 완속 충전구가 하나 더 있다.
아우디코리아는 이번 신차 출시와 함께 아우디 써머투어 행사를 기념해 출고하는 고객은 아우디 로고와 후원구단 FC 바이에른의 로고가 들어간 도어 엔트리 LED 라이트를 받는다.
아우디 코리아는 모든 아우디 e-트론 배터리에 대해 8년 또는 16만㎞까지 보증하며, 구동모터 등 동력전달 부품을 포함한 일반부품도 업계 최고 수준인 5년/15만㎞까지 보증한다. 또한 ‘더 뉴 아우디 Q8 e-트론’을 출고 완료한 고객 모두에게 5년간 유효한 100만원 상당의 충전 크레딧을 기본으로 제공한다.
김재성 기자(sorrykim@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MW 지난달 판매량 1위 '탈환'…2위 벤츠·3위 테슬라
- 현대차, '2025 그랜저' 출시…상품성↑·3천768만원부터
- "3열 시트, 아빠들이 좋아해"...경제성·다목적 폭스바겐 '티구안 올스페이스'
- 핸들만 잡아도 딱 좋다던데…혼다, SUV·세단 선택지 다 갖췄다
- 스트라드비젼, '증강현실' 내비 실현 제품 양산…日 완성차 납품
- 수능 끝 첫 주말, 지스타2024 학생 게임팬 대거 몰려
- "밈코인, 뉴노멀 가능성...장기 산업 발전 영향력은 제한적"
- 삼성 차세대폰 갤럭시S25, 언제 공개되나
- 대기업 3Q 영업익 증가액 1위 SK하이닉스...영업손실 1위 SK에너지
-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 기업가치 약 349조원 평가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