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해외부동산 투자 2조4000억원이 ‘잠재 부실’…증가폭은 둔화
지난해 말 기준 국내 금융사의 해외부동산 대체투자 중 2조4000억원이 채무불이행 등 부실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유럽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침체한 영향으로, 잠재 부실의 증가폭은 지난해보다 둔화됐다.
금융감독원은 5일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이 지난해 말 기준 57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9월 말보다 1조2000억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금융권 총자산(6859조2000억원)의 0.8% 수준이다.
업권별로 보험이 31조3000억원(54.4%)으로 가장 잔액이 많았고, 그다음 은행 11조6000억원(20.2%), 증권 8조8000억원(15.2%), 상호금융 3조7000억원(6.4%), 여전 2조1000억원(3.6%), 저축은행 1000억원(0%) 순이었다.
지역별 투자비중은 미국·캐나다 등 북아메리카가 34조8000억원(60.3%)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유럽 11조5천억원(20.0%), 아시아 4조2000억원(7.3%) 등이었다.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규모는 10조6000억원으로 잔액의 18.3% 수준이다. 2030년까지 돌아오는 규모가 78.0%(44조8000억원)다.
총투자 잔액 중 개발 부동산에 투자해 사업장 파악이 가능한 단일자산 투자는 35조1000억원이었다. 이 중 2조4100억원 (6.85%) 규모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기한이익상실은 채무불이행 등으로 채무자의 신용위험이 높아질 경우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금감원은 EOD 발생 규모가 분기별로 증가하고 있으나, 지난해 말 증가폭이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1조3300억원이었던 EOD 발생 규모는 3개월 만인 같은 해 9월 말 2조3100억원으로 1조원가량 늘어났으나, 같은 해 12월 말 기준에는 10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금감원은 “올해 들어 미국·유럽 상업용 부동산 가격지수 하락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나 추가 가격하락 위험을 배제하기는 어렵다”며 “해외 부동산 투자규모가 크지 않고,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해외 부동산 투자손실이 국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EOD 등 특이 동향에 대한 신속보고체계를 운영하고, 올해 만기도래 자산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 강화할 방침이다.
김지혜 기자 kimg@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들이 이제 비자 받아 잘 살아보려 했는데 하루아침에 죽었다”
- 윤 대통령 ‘외교용 골프’ 해명에 김병주 “8월 이후 7번 갔다”···경호처 “언론 보고 알아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남잔데 숙대 지원했다”···교수님이 재워주는 ‘숙면여대’ 대박 비결은
- 이준석 “대통령이 특정 시장 공천해달라, 서울 어떤 구청장 경쟁력 없다 말해”
- 이재명 “희생제물 된 아내, 죽고 싶을 만큼 미안하고 사랑한다”
- “집주인인데 문 좀···” 원룸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20대 구속
- 뉴진스 “민희진 미복귀 시 전속계약 해지”…어도어 “내용증명 수령, 지혜롭게 해결 최선”
- 또 아파트 지하주차장 ‘벤츠 전기차 화재’에…주민 수십명 대피
- [단독]“일로 와!” 이주노동자 사적 체포한 극우단체···결국 재판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