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글로벌 업체는 한국 노리는데... '안방'에 묶인 국내 거래소

도쿄(일본)=양진원 기자 2024. 6. 5. 06:1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루나·테라 사태 이후 고도화된 이용자 편의성… 글로벌 경쟁력이 아까워
[편집자주] 가상자산 600만 시대. 오는 7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가상자산법) 시행을 앞두고 가상자산 투자자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가상자산법은 금융당국이 가상자산 사업자의 감독·제재 권한을 강화하는 데 방점을 둔다. 가상자산의 발행과 유통, 자금조달 사업자에 대한 규제가 포함될 예정이다. 한국이 가상자산 규제를 강화하는 한편 글로벌 국가들은 '디지털 자산' 육성을 논의하고 있다. '세계 3위 경제 대국' 일본은 가상자산 규제와 함께 토큰증권발행(STO), 디지털화폐(CBDC) 등 디지털 자산의 제도화에 속도를 낸다. 가상자산을 넘어 '디지털자산'의 미래를 논의해야 할 시기가 도래했다. 가상자산 선진국 일본을 찾아 가상자산 시장의 미래와 과제를 살펴봤다.

일본 도쿄에 위치한 현지 최대 코인거래소 '코인체크' 사무실. /사진=양진원 기자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에 이어 또 다른 대형 거래소 크립토닷컴이 최근 한국 진출을 노렸으나 좌절의 고배를 마셨다. 국내 금융당국이 까다로운 기준을 제시한 탓에 검증 단계가 발목을 잡았기 때문이다.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막강한 자본력을 갖춘 해외 거래소들의 진출을 예의주시할 뿐 이들과 달리 글로벌 진출은 꿈도 꾸지 못하고 있다.

이용자 편의성이나 거래 시스템 등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췄지만 금융당국의 마음을 돌리지 못한 까닭이다. 한국 가상자산 시장을 넘어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새로운 시장 개척에 나설 수 있게 된다면 한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돌파구가 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해외 굴지의 코인거래소, 호시탐탐 국내 노려… 한국 거래소도 해외 진출해야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 이미지. /사진=로이터
크립토닷컴은 호기롭게 도전했던 한국 시장 진출을 무기한 연기했다. 2022년 국내 코인마켓(코인과 코인 간 거래만 지원) 거래소 오케이비트 지분 100%를 사들여 지난달 말 애플리케이션(앱) 출시를 앞두고 있었지만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의 송곳 검증에 기세가 꺾였다.

앞서 고팍스 최대 주주로 등극한 바이낸스도 국내 진출을 노렸지만 금융당국은 대주주 적격성을 문제 삼으며 허가를 하지 않고 있다. 벌써 약 2년 동안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다.

해외 코인거래소들이 영토 확장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상황 속에 경쟁력이 입증된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오히려 운신의 폭이 좁아지고 있다.

국내 1위 거래소 업비트는 글로벌 진출을 몇 년 전부터 구상하고 있지만 아직도 요원하다.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해외에 업비트를 세우려고 노력했지만 은행 송금이 불가해 뜻을 이룰 수 없었다. 가상자산거래소 설립 목적으로 송금 승인을 받지 못하고 있어 손발이 묶였다.

현행법상 명확한 규제 조항은 없지만 금융당국의 입김이 그림자 규제(그림자 규제(규제당국의 비명시적인 변칙 규제)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 눈치를 살필 수밖에 없는 은행들은 알아서 국내 코인거래소의 해외 진출을 원천 차단 중이다.

가상자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배경으로 꼽힌다.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거래소들이 제대로 틀을 갖추고 영업을 하고 있지만 아직은 '투기'라는 생각이 강한 것 같다"며 "정당한 기업 활동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가상자산 업계 전문가는 "국내 코인거래소들이 해외로 나갔을 때 이를 관리할 인력이나 체계도 미흡한 상태"라며 "이제서야 법령이 정비되고 있는 상황에 변수가 발생하면 이를 감당할 여력이 부족하다"고 했다.

업계는 가상자산 거래소의 해외 진출이 현대자동차나 삼성전자 등 국내 굴지의 기업들이 제품을 팔아서 돈 버는 것과 다를 게 없다고 하소연한다. 무형의 가상자산 서비스를 수출할 뿐 수익 구조는 동일하다는 설명이다.

가상자산 시장이 성장하는 단계인 만큼 성숙기가 오기 전까진 시장 규모는 무궁무진하다고 본다. 최근엔 홍콩 증권·규제당국이 미국에 이어 아시아 최초 양대 가상화폐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승인한 것도 이 때문이라고 한다. 아시아 금융 허브인 홍콩이 가상자산 시장을 공인하면서 중국 자금이 홍콩으로 흘러갈 가능성도 거론된다.


전 세계와 비교해도 손색 없다… 이용자 편의성 최고 수준


두나무가 운영하는 국내 1위 코인 거래소 업비트. /사진=뉴스1
국내 코인거래소들의 글로벌 경쟁력은 어느 국가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 사용자인터페이스(UI)와 사용자경험(UX)에 있다. 투자자들이 한눈에 가상자산 변동 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거래도 편리하다. 일본의 유력 코인거래소들과 비교해도 월등하다.

일본 사정에 정통한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일본은 현재 개미 투자자들의 열기가 높지 않다"며 "한국처럼 개미 투자자들이 많은 시장에서 갈고 닦은 UX와 UI는 분명한 쟁력"이라고 말했다.

이용자 친화적인 거래 수수료도 장점으로 꼽힌다.업비트와 빗썸, 코빗 등은 0.0N%를 받고 있다. 현지 진출 시 조정은 있을 수 있지만 해외와의 형평성 차원에서 크게 달라지긴 어렵다.

해외에서 허용되는 선물이나 다른 투자 상품도 흡수해 서비스 경쟁력을 높일 수도 있다. 일본에선 레버리지 제한이 있지만 선물 거래가 가능하고 미국에선 더욱 풍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국내 차트와 오더북까지 공유할 수 있다면 유동성도 확보할 수 있다.

자금세탁방지(AML) 역량은 전 세계 최고 수준이다. 루나와 테라 대폭락 사태를 거치면서 이용자 보호를 위한 세밀한 AML 체계를 자체적으로 확보했다.

또 다른 가상자산 관계자는 "한국은 개인 투자자들의 규모가 큰 데다 수많은 위기를 거치며 이용자 편의성을 빠르게 개선해 왔다"며 "어느 나라에 진출해서도 경쟁 우위를 가질 수 있다"고 했다. "가상자산 거래소는 먼저 진출하면 유리한 것이 사실"이라며 "어려움이 있다고 국내에만 머무르는 것은 도움이 안 된다"고 덧붙였다.

도쿄(일본)=양진원 기자 newsmans12@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