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사도광산 핵심은 에도 시대"... '조선인 강제노동 배제' 꼼수 되풀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문부과학장관이 일본 정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사도 광산'에 대해 "에도 시대에 손으로 채굴한 것이 핵심"이라고 밝혔다고 4일 일본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일본은 사도 광산을 세계유산으로 신청하면서 대상 시기를 에도 시대(1603~1868년)로 한정했다.
일본 정부의 사도 광산 등재 시도는 2022년 2월에 이어 두 번째로, 최종 등재 여부는 다음 달 하순 인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 유네스코 자문 심사 결과 발표
한국, 권고안에 과거사 담으려 총력
일본 문부과학장관이 일본 정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사도 광산'에 대해 "에도 시대에 손으로 채굴한 것이 핵심"이라고 밝혔다고 4일 일본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사도 광산의 세계 유산으로서 가치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은 관련이 없다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한 셈이다.
보도에 따르면 모리야마 마사히토 일본 문부과학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한반도 출신 사람들이 강제노동에 동원됐다는 한국 견해'에 대해 묻자 "한국이 주장하는 강제노동은 메이지 시대 이후 이야기"라며 이같이 말했다.
일본은 사도 광산을 세계유산으로 신청하면서 대상 시기를 에도 시대(1603~1868년)로 한정했다. 사도 광산은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인 약 2,000명이 끌려와 가혹한 노역을 강요받은 현장이다. 일본은 과거사를 지우기 위해 이 기간을 의도적으로 배제하려 한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모리야마 장관이 언급한 메이지 시대는 1868~1912년이다.
이코모스 권고 심사 이번 주 안에 나올 듯
모리야마 장관은 사도 광산의 가치에 대해 "세계 광산에서 기계화가 진행되는 16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전통적인 수공업으로 세계 최대급, 최고 품질의 금 생산을 실현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세계유산위원회 자문기구인 이코모스(ICOMOS·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의 사도 광산 평가 결과 공개와 관련해 "이제 곧이라는 느낌"이라며 "문화적 가치가 평가되는 것을 기대하며 행운을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이코모스는 각국이 신청한 유산을 조사한 뒤 △등재 권고 △보류 △반려 △등재 불가 등 네 가지 권고안 중 하나를 택해 당사국에 전달한다. 사도 광산 심사 결과는 이르면 이번 주에 공개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의 사도 광산 등재 시도는 2022년 2월에 이어 두 번째로, 최종 등재 여부는 다음 달 하순 인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
한국 정부는 일제강점기를 포함해 사도 광산 전체 역사가 반영돼야 한다는 입장으로, 이코모스 권고 내용에 이 점이 반영되도록 힘쓰고 있다. 한국 외교부는 지난 3월 사도 광산 등재 문제를 전담하는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외교전을 펼쳐 왔다.
도쿄= 류호 특파원 ho@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포항에 석유 있다" 판단한 액트지오 고문, 이르면 내일 한국 들어온다 | 한국일보
- "100억 원 기부, 봐 달라더니"... 김호중 팬들 75억 원은 '앨범 기부' | 한국일보
- '장군의 아들' 박상민 또 음주운전… 차에서 잠들었다가 적발 | 한국일보
- "'만추' 전엔 혼자라 울었는데" 남편 영화 두번째 출연한 탕웨이 소감 | 한국일보
- 시추 1공에 1000억 원 드는데… "배보다 배꼽이 더 클 수도" | 한국일보
- "내 껄 디스해야 하네"... 홍콩반점 짜장면 먹은 백종원 | 한국일보
- "다 알아듣는다" 중국인 직원에 분노... 짬뽕 끼얹은 주방장 | 한국일보
- 한류스타 '꽃남' 김현중 농부 됐다…"농사, 대단한 일이라고 느껴" | 한국일보
- '욱일기 벤츠' 이번엔 인천서 포착... 아파트 입구 민폐 주차 | 한국일보
- 52년 전 "석유 나왔다"던 박정희 대통령...지금껏 우리 바다 속에서 찾지 못했다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