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해와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또또또 넷플릭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번엔 '더 에이트 쇼'다.
글로벌 콘텐츠 기업 넷플릭스가 지난달 공개한 한국 드라마 '더 에이트 쇼'의 스페인어 자막에서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해 논란이다.
넷플릭스 쪽은 "극 중 캐릭터가 언급한 '동해'가 일부 언어의 자막에서 '일본해'로 표기된 것을 확인했다"며 "유사한 사례가 없을지 검토하고 추후 번역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넷플릭스는 2021년에 티브이엔(tvN) 드라마 '하백의 신부'를 서비스하면서 프랑스어 자막에서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해 지적을 받고 수정한 바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번엔 ‘더 에이트 쇼’다. 글로벌 콘텐츠 기업 넷플릭스가 지난달 공개한 한국 드라마 ‘더 에이트 쇼’의 스페인어 자막에서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해 논란이다. 이 자막은 3회에서 3층님(류준열)이 애국가를 부를 때 등장한다. “동해물과 백두산이~”에서 ‘동해’가 ‘Mar del Este’(마르 데 에스테)가 아닌 ‘Mar de Japón’(마르 데 하폰)으로 표기됐다.
넷플릭스 쪽은 “극 중 캐릭터가 언급한 ‘동해’가 일부 언어의 자막에서 ‘일본해’로 표기된 것을 확인했다”며 “유사한 사례가 없을지 검토하고 추후 번역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넷플릭스의 오역은 처음이 아니다. 넷플릭스는 2021년에 티브이엔(tvN) 드라마 ‘하백의 신부’를 서비스하면서 프랑스어 자막에서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해 지적을 받고 수정한 바 있다. 2020년 영화 ‘사냥의 시간’에서는 독일어∙헝가리어∙폴란드어∙스페인어 등 6개 언어 자막에서 ‘동해’가 ‘일본해’로 번역됐다. 2021년 자체 제작 시트콤 ‘내일 지구가 망해버렸으면 좋겠어’ 중국어 자막에서는 ‘김치’를 ‘파오차이’로 오역했고, 같은 해 제이티비시(JTBC) 드라마 ‘시지프스’를 내보내면서는 프랑스어 자막에서 “동해바다, 서해바다 할 때 서해?”라는 대사를 “중국에 뿌리를 둔 이름, 맞죠?”라고 번역하기도 했다.
넷플릭스는 그때마다 “재발 방지”를 약속했지만 같은 문제는 계속 불거지고 있다. 단순 오타나 오역이 아니라 우리 역사 왜곡과 정체성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는 표현의 문제라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는 크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콘텐츠를 보며 그 나라의 정보를 흡수하는 시대에 번역 오류는 한 나라 문화 전체를 왜곡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라고 짚었다. 전세계 2억명이 보는 글로벌 오티티에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경우 악용될 여지도 있어서다.
실제 번역의 문제를 넘어 역사 왜곡이 발생하기도 했다. 넷플릭스 일본은 한국 영화 ‘택시운전사’를 설명하면서 ‘5· 18 광주민주화운동’을 ‘폭동’으로 표현했고, 넷플릭스 대만에서는 한국 드라마 ‘킹덤’의 제목을 ‘이시조선’으로 번역했다가, 2020년 3월 한겨레 보도 뒤 ‘시전조선’으로 수정한 바 있다. 조선을 낮춰 부르는 말인 ‘이씨조선’에 좀비의 의미를 담은 ‘주검 시’를 넣었다.
반복되는 문제에 넷플릭스 코리아의 책임론도 제기된다. 윤석진 충남대 국문과 교수는 “넷플릭스 코리아는 글로벌 다국적 기업의 한국지사이기 전에 한국 콘텐츠를 책임져야 하는 기업이라는 점에서 한국 콘텐츠의 현지어 자막 검수에 신경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넷플릭스 코리아는 국내외 협력업체에 번역을 맡긴 뒤 이를 내부 담당자가 검수하는 식으로 자막을 작업한다. 자체 제작물의 경우 자막은 최대 31개 언어로 번역되는데 히브리어, 힌두어 등 번역자가 많지 않은 특수 언어의 경우엔 1차로 영어 번역을 한 뒤 이를 재번역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한국 문화에 익숙지 않은 현지인이 번역할 경우 오역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넷플릭스 관계자의 설명이다. 작업이 방대하다 보니 오류를 잡아내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 콘텐츠의 위상이 높아졌고 자막은 해당 콘텐츠를 이해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언어라는 점에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석진 교수는 “드라마나 영화와 같은 콘텐츠는 단순한 문화상품이 아니라, 동시대 사회 구성원들의 의식과 사회 현실을 반영하고 재현하는 문화 기제임을 유념해야 한다”며 “전체 제작비에서 얼마 되지 않을 비용 때문에 반복되는 자막 오류를 방치하거나 외면한다면, 돈으로 환산하기 어려운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남지은 기자 myviollet@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한 겹 벗겨진 6세기 ‘경주 왕릉’ 경악…천년의 무덤 공식 뒤흔들다
- ‘동해 석유 매장 분석’ 액트지오 대표 “한국인들에 명확한 답 주러 왔다”
- 4쪽 빽빽한 ‘임성근 혐의’ 첫 보고…“내려가서 수풀 헤치고 찔러봐”
- 달에 ‘中’자 새긴 중국…“달에 나타난 최초 인류 문자” 흥분
- 김건희 탈탈 털었다고?…털어야 할 그때, 윤 ‘대선 후보’ 됐다
- DJ, 노무현에게 ‘언론사 세무조사’ 메모를 건네다
- 오픈AI·구글 전현직들 “인공지능 위험 ‘내부 고발’ 보호 장치 필요”
- 초3이 교감 뺨 때리고 욕설하는데 부모는 치료 거부
- 현충일 ‘징검다리 연휴’ 곳곳에 비…산간 지역 천둥·번개 동반 소나기
- 지드래곤, 카이스트 교수 됐다…“과학과 K콘텐츠 ‘빅뱅’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