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 2m 날지 못하는 새’ 화석 발견…이렇게 생겼다고? [와우! 과학]

윤태희 2024. 6. 4. 14: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키가 2m에 달했던 날지 못하는 새의 두개골 화석이 호주에서 발견됐다.

3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 등에 따르면, 호주 플린더스대 연구팀은 게니오르니스의 온전한 두개골 화석이 발견돼 이 새의 생김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됐다고 국제학술지 히스토리컬 바이올로지(Historical Biology) 3일자에 발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게니오르니스 네우토니(G. newtoni)의 상상도 / 사진=제이컵 블록랜드

키가 2m에 달했던 날지 못하는 새의 두개골 화석이 호주에서 발견됐다. 게니오르니스라는 이 새는 최대 5만 년 전부터 최소 4만 5000년 전까지 살던 무게 230㎏의 육상 조류다.

3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 등에 따르면, 호주 플린더스대 연구팀은 게니오르니스의 온전한 두개골 화석이 발견돼 이 새의 생김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됐다고 국제학술지 히스토리컬 바이올로지(Historical Biology) 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 주저자인 피비 맥이너니 박사는 BBC에 “(새로운 화석이) 온전한 두개골임을 알게 돼 매우 만족스러웠다”며 “게니오르니스는 128년 동안 알려졌지만 이제서야 두개골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게니오르니스 네우토니(G. newtoni)의 두개골과 상상도 / 사진=제이컵 블록랜드

길이 32㎝의 두개골은 2019년 남호주 내륙의 외딴 지역 캘러본남 호수의 마른 바닥에서 거의 화석화된 새의 몸에 붙은 채 발견됐다. 이 호수의 진흙에는 한때 수천 마리의 동물이 갇혀 화석이 돼 왔다.

1913년 처음 보고된 이 종에 대해 알려진 유일한 두개골은 심하게 손상돼 있고 원래 뼈의 양도 적어 얻을 수 있는 정보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이번 발견은 이 새가 ▲거대한 두개골 ▲ 큰 위턱과 아래턱 ▲ 투구 같은 관모(볏) 등 특징을 갖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부리를 크게 벌려 강하게 물 수 있어 부드러운 식물과 과일을 입천장으로 으깨 먹을 수 있던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종은 호주의 까치기러기(magpie goose)의 친척뻘이지만, 먼저 별도의 혈통으로 진화했으며 남아메리카의 떠들썩오리(Anhimidae)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

호주 플린더스대의 피비 맥이너니 박사와 제이컵 블록랜드 박사과정 연구원이 게니오르니스의 온전한 두개골 화석을 살펴보고 있다. / 사진=제이컵 블록랜드

맥이너니 박사는 “다른 종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 복잡했지만 새로운 화석 발견을 통해 연구자들은 간단히 말해 이 종이 거대한 기러기임을 보여주는 퍼즐을 맞추는 작업을 시작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 이상하고 멋진 새의 크기와 생김새로 인해 매우 볼만한 광경이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팀에서 이 새를 과학적으로 정확하게 재구성하는 작업을 수행한 제이컵 블록랜드 박사과정 연구원은 “오늘날 새들을 비교 대상으로 삼아, 우리는 화석에 살을 다시 붙여 생명을 불어넣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거대 새가 물에 들어갔을 때 귀와 목을 보호하는 등 수생 서식지에 대한 이례적인 적응 능력을 여러 개 갖고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게니오르니스 네우토니(맨오른쪽)의 크기 비교 이미지 / 사진=피비 맥이너니

한편 게니오르니스는 호주에 살던 날지 못하는 거대 새 ‘미하룽’에 속한다. 이들 새 중 가장 큰 새는 ‘천둥새’라고도 불리는 드로모르니스로, 키가 3m에 달하고 몸무게는 650㎏이나 나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