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전당대회' 시즌 앞두고 당헌·당규 개정 박차…상반된 행보 주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야가 각각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헌·당규 개정 작업에 착수했다.
7월 25일 전당대회 개최를 잠정 결정한 국민의힘은 이날부터 당헌·당규 개정 특별위원회를 가동했다.
민주당 역시 오는 8월 중순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헌·당규 개정 움직임에 분주하다.
앞서 민주당 당헌·당규 개정 TF(태스크포스)가 마련한 당헌·당규 개정안은 '당원 권한 강화와 당대표 임기 제한 개정'이 골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주, '대선출마 당대표 사퇴' 개정 놓고 신중론
여야가 각각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헌·당규 개정 작업에 착수했다. 다만 국민의힘은 전당대회 룰에서 '당원 투표 100%'를 적용해 '민심'을 반영하는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권리당원의 권한을 강화하는 쪽으로 상반된 행보를 걷고 있다. 또 지도부체제를 놓고도 국민의힘은 '집단지도체제'로 변경해 민주당과 차별화하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는 당헌·당규 개정 관련 다양한 의견 수렴에 나섰다. 전당대회 일정이 가시화되면서 양당 모두 시간이 촉박해졌음에도 신중한 모습이다.
7월 25일 전당대회 개최를 잠정 결정한 국민의힘은 이날부터 당헌·당규 개정 특별위원회를 가동했다. 특위는 지난해 전당대회에서 친윤계 비대위에서 도입한 현행 '당심 100% 룰'을 개정할지 논의한다. 당에선 의원들을 대상으로 당원투표와 일반국민여론조사 비율을 현행 '10대 0'으로 할지, '8대2', '7대3', '5대5'까지 네 가지 안을 놓고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이날 여상규 특위위원장은 이날 첫 회의에서 “당원 선거인단과 여론조사 반영 비율에 대한 당론을 모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며 “의원과 사무처 등 당 안팎 여론을 반영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특위가 당대표·최고위원을 분리 선출해 당대표에 권한을 집중하는 '단일 지도체제'를 그대로 유지할지도 관심사다. 당내에선 단일 경선에서 최다 득표자가 대표최고위원, 차순위 득표자가 최고위원이 되는 '집단지도체제'로 돌아가자는 의견도 나온다. 다만 전대 일정이 촉박해 지도체제까지 논의하기엔 시간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민주당 역시 오는 8월 중순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헌·당규 개정 움직임에 분주하다. 앞서 민주당 당헌·당규 개정 TF(태스크포스)가 마련한 당헌·당규 개정안은 '당원 권한 강화와 당대표 임기 제한 개정'이 골자다. 모두 당내 유력 대선 주자인 이재명 대표의 연임에 힘을 싣는 방향이다.
이 중 당대표 임기 제한 개정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당대표가 대선에 출마할 시 선거일 1년 전까지 사퇴해야 한다는 규정에 예외조항을 마련하는 것인데, 자칫 역풍을 맞을 수 있어 이 대표 역시 신중을 기하는 모양새다.
전날 민주당은 당무위원회에서 당대표 임기 관련 개정안을 의결할 예정이었으나 연기했다. 전날 4~5선 등 중진 의원들과의 오·만찬을 진행한 이 대표는 오는 5일 국회의원과 지역위원장이 참여하는 연석회의에서 당헌·당규 개정안에 대한 토론을 이어갈 방침이다.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I 반도체 대전 2라운드 진입…인텔·AMD, 엔비디아에 반격
- 젠슨 황 “삼성 HBM 테스트 진행 중…통과 실패 아냐”
- 자동차 내수 역성장, 6월 올해 최대 할인
- [뉴스줌인]젊은대륙 아프리카, 韓 경제·안보 파트너 부상
- 尹, 아프리카 48개국과 공동선언...핵심광물·디지털·과기·인프라 협력 강화
- “전력 시장 '좁은 문' 뚫어라”…LNG 발전소 경쟁 돌입
- 트럼프 옹호하는 아빠 뒤에서 '에베베'…네티즌 관심 독차지한 6살 아들
- 효성중공업, 모잠비크에 대규모 전력기기 공급…아프리카 시장 공략 박차
- 국가 R&D 예타 제도 16년만에 폐지…맞춤형 심사로 기획성· 건전성 모두 확보
- 서울시, 키오스크 5000대 내년 상반기까지 디지털 약자 친화형으로 교체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