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트럼프 누가 되든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할 준비돼 있어”

김유진 기자 2024. 6. 4. 12:5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G전자 테네시법인장
트럼프 ‘10% 보편관세’ 부과 시
냉장고·TV 등 미국내 생산 검토
미국 테네시주 클라크스빌의 LG전자 생활 가전공장에서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손창우 테네시법인장이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워싱턴특파원공동취재단

LG화학의 양극재 공장이 건설되고 있는 미국 테네시주 클라크스빌에는 LG전자 생활가전 공장도 자리 잡고 있다. 연간 세탁기 120만 대, 건조기 60만 대, ‘워시타워’ 35만 대 생산능력을 갖춘 LG전자 테네시 공장은 과거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의 통상 압박을 돌파하기 위한 기업의 고민과 나름의 해법이 담긴 곳이다. 한국산 세탁기에 대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2018년 12월 준공됐기 때문이다.

그로부터 5년여가 흐른 지금, LG전자 북미 지역 생산거점은 또다시 ‘트럼프 리스크’에 대비할 채비를 하고 있었다. 조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대결하는 11월 미 대선에서 누가 당선되더라도 미국발 보호무역주의는 계속될 수 있다고 판단한 듯했다.

손창우 LG전자 테네시법인장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기자간담회에서 “바이든이 더 낫다거나 트럼프라고 더 힘들다고 할 수는 없다”면서 “두 후보가 당선되는 각각의 상황에 맞게 대응 전략을 다르게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LG전자 미국 테네시 공장에서 차세대 물류 로봇인 자율주행 물류로봇(AMR)이 세탁기 부품을 운반하고 있는 모습. LG전자 제공

트럼프 행정부의 세이프가드 조치에 ‘대규모 대미 투자 및 미국 내 직접 생산’ 카드로 대응한 LG전자 테네시공장은 현지 소비자들 사이에서 안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의 높은 인건비 부담을 덜기 위해 제작 공정 전반과 물류·관제 시스템에 인공지능(AI)과 로봇 등을 활용하는 스마트 기술을 접목해 자동화율을 업계 최고 수준인 64%까지 끌어올렸다. 과거 패스트푸드 체인에서 단순 서비스 업무를 했던 지역 청년들이 테네시 공장에 취직해 기술을 습득하는 등 양질의 일자리 창출도 이뤄냈다.

손 법인장은 “미국 내 공장이 있어 (현지 시장과) 근접 생산이 가능해졌다”며 “공장이 없었다면 코로나19 기간 급증한 수요에 대응하기가 상당히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미·중 갈등 고조와 맞물려 미국의 보호주의 흐름이 강화되면서 수입산 부품에 대한 관세 부과 등 한국에 불똥이 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전임 트럼프 행정부가 무역법 301조에 따라 부과한 대중국 고율 관세를 대폭 인상한 데 이어 중국의 동남아 관세 우회로 규제까지도 예고했다.

손 법인장은 이와 관련 “부품의 경우 대선에서 누가 당선되든 계속 리스크가 있다”면서 “(냉장고 생산법인이 있는) 멕시코의 협력사에서 부품을 가져오는 계획을 마련하는 등 관세 및 물류 상황을 고려해 부품 공급처를 다변화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모든 수입품에 10% 보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약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되면 통상 환경 전반이 크게 악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손 법인장도 이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냉장고, TV 등) 다른 제품에 대해서도 근접 생산을 검토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현재 부지에 공장동을 추가 증설할 여지가 있는 만큼 미국발 통상 압박이 있을 경우 미국 내 생산으로 돌파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테네시주 | 김유진 특파원 yjk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