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증환자 응급실 이용, 英·日처럼 119 대체하는 1339 부활시켜 걸러야”
경증환자의 대형병원 응급실 이용이 최근 급증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문제 해결을 위해 과거 119와 별도로 구축돼 있던 응급 의료 정보 센터인 1339센터를 부활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조석주 부산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4일 조선닷컴과 통화에서 “과거 응급의료정보센터(1339센터)가 했던 것처럼 구급대와 수술 가능 의사, 응급 환자를 전담해 조정해 주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며 이렇게 제언했다.
조 교수에 따르면, 과거 응급 의료 정보 센터에서는 응급구조사와 간호사로 구성된 10여 명과 공중보건의 5~6명이 24시간 응급 의료 상담을 했었다. 환자 상태에 따라 보건복지부 소속 ‘1339′가 응급실 입원 필요성 등을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 행정자치부 소속 ‘119′와 연계해 구급차를 보내줬다.
그러나 1339와 119 모두 ‘응급의료 신고전화’로 홍보되면서 국민 혼선을 초래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나왔다. 이원화된 두 조직을 통합하자는 여론이 비등했고 2012년 6월 1339는 폐지됐고 그 기능은 119로 통합됐다. 그 뒤 119가 ‘응급 의료 상담’과 ‘구급차 배정’ 기능을 모두 도맡게 됐다.
조석주 교수는 그러나 최근 과밀화에 따른 응급실 뺑뺑이 등 문제는 1339처럼 사전에 경증 환자를 걸러낼 수 있는 시스템이 없어진 것이 한 가지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일반인에게 응급 및 일반 상황을 구분해 주고, 구급대와 병원 간 업무를 조정하는 컨트롤타워가 사라졌다는 것이다.
그는 “환자가 경증인지 중증인지 스스로 판단할 수 없어 일단 대학병원 응급실을 찾아가는 것”이라며 “1339 같은 의료 상담 기능이 활성화돼 경증 환자들이 지역 응급의료기관으로 향하면 지금의 응급실 과밀화 사태가 상당 부분 해소될 수 있다”고 했다.
대한의사협회 우봉식 의료정책연구원장도 지난 1월 ‘의대 정원 증원 추진과 대한민국 의사의 미래 토론회’에서 “응급실 뺑뺑이는 1339 응급의료정보센터가 2012년, 119 소방본부로 흡수 통합되면서부터 일찍이 우려됐던 일”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영국에서는 ‘NHS111′가, 일본에서는 ‘#7119′가 신고 환자에게 1차적인 의료 상담을 해주는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일본 소방청은 지난 4월 “구급차나 구급의료는 한정된 자원”이라며 국민들에게 ‘구급차를 불러야 할 경우’ 등을 구분해놓은 팸플릿을 배포하기도 했다.
정부는 지난 4월부터 응급환자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4개 권역(수도권·충청권·전라권·경상권)에서 광역응급의료상황실을 가동했다. 근무 당 의사 1명과 상황 요원 2∼4명이 팀을 이뤄 권역 내 중증응급환자의 병원 간 이송을 지원한다. 조석주 교수는 “광역응급의료상황실의 대국민 홍보를 강화하고 현재 119에서 담당하는 ‘일반인 응급 의료 상담’ 기능을 광역응급의료상황실로 이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