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먼지+고령화로 2050년 국내 사망자 3배 증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초미세먼지와 고령화의 영향으로 2050년 국내 사망자수가 11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결과가 제시됐다.
시나리오 분석 결과 초미세먼지 농도가 최근 3년간의 평균 수준인 20µg/m³로 유지되는 경우 2050년 사망자는 약 11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연간 대기환경기준인 15µg/m³로 초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더라도 2050년 사망자는 약 8만4000명일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초미세먼지와 고령화의 영향으로 2050년 국내 사망자수가 11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결과가 제시됐다. 2020년 국내 전체 사망자수의 약 3배에 달하는 수치다.
포스텍은 이형주 환경공학부 교수, 김나래 석사과정생 연구팀이 현재 한국의 초미세먼지 농도와 고령화 속도를 고려해 2050년 사망자 수를 예측하고 현재 수준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초미세먼지 농도를 제시한 논문을 발표했다고 4일 밝혔다.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총먼지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로 나뉜다. 크기가 가장 작은 초미세먼지는 지름이 2.5µm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미터) 이하인 먼지로 몸속 깊숙이 침투해 여러 질병을 유발한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층이 초미세먼지에 더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 교수팀은 먼저 2019년부터 2021년까지의 초미세먼지 데이터를 사용해 3년간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를 계산했다. 2019~2021년 국내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약 20µg/m³로 이는 환경부의 연간 대기환경기준인 15µg/m³보다 높고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수준인 5µg/m³를 한참 상회하는 수치다.
또 연구팀은 인구주택총조사와 장래인구추계 데이터를 통해 2020년 16%에 불과했던 고령층 인구가 2050년에는 40%로 증가할 것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초미세먼지로 인한 사망자 수를 예측하는 시나리오를 설계했다. 시나리오 분석 결과 초미세먼지 농도가 최근 3년간의 평균 수준인 20µg/m³로 유지되는 경우 2050년 사망자는 약 11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사망자 수인 3만4000명의 3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환경부 연간 대기환경기준인 15µg/m³로 초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더라도 2050년 사망자는 약 8만4000명일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2050년의 사망자 수가 2020년 수준과 같아지려면 초미세먼지 농도를 6µg/m³까지 줄여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전체 인구수는 감소하지만 초미세먼지에 취약한 고령층 비율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초미세먼지 농도를 현재 정책보다 훨씬 더 많이 줄여야 사망자와 공중 보건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건강 취약계층이 많아지면서 초미세먼지가 공중 보건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면서 ”지금보다 훨씬 강화된 미세먼지 대책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채린 기자 rini113@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