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뿔·쌀로 만든 장신구…특권층 전유물 아닌 예술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얼핏 보면 그저 평범한 새 날개 모양의 목걸이 같지만, 재료를 알고 나면 다시 한번 들여다보게 된다.
전통 장신구의 의미를 넘어 새로운 시각 언어로 등장한 현대장신구를 조명한 전시가 열린다.
7월 28일까지 서울 종로구 서울공예박물관에서 개최하는 한국-오스트리아 현대장신구 교류전 '장식 너머 발언'이다.
이정규 작가는 화각(소뿔) 같은 고전적 재료와 기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장신구를 보여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오스트리아 작품 675점 선보여
"장신구 발생부터 미래 움직임까지 살펴봐"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얼핏 보면 그저 평범한 새 날개 모양의 목걸이 같지만, 재료를 알고 나면 다시 한번 들여다보게 된다. 전은미의 목걸이 장식은 동물의 내장을 사용해 만들었다. 내장은 작가의 손에서 여러 번의 압착 공정을 거치며 양피지(소 ·양 ·새끼염소의 가죽으로 만든 서사재료)로 거듭난다. 이렇게 탄생한 목걸이에 금으로 도금한 머리카락을 결합했다. 오스트리아 작가 미셸 크래머의 목걸이 ‘배짱이 있나요?’는 질병으로 인해 표면이 손상된 정맥류 등을 연상시킨다. 소재는 피부와 마찬가지로 노화 과정을 거치는 라텍스이다. 두 작가 모두 ‘장신구=아름다움’이란 일반적인 인식을 탈피하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방식으로 장신구를 제작했다.
100여년 전 장신구는 권력의 상징이자 특권층의 전유물이었다. 장신구를 제작하는 장인들은 착용자의 그늘에 늘 가려져 있었다. 20세기 이후 현대장신구가 등장하면서 작가들은 새로운 재료와 디자인을 실험적으로 적용했고, 독자적인 예술 장르를 개척해 나갔다. 1970년대 오스트리아 1세대 장신구 작가들은 페미니즘과 같은 사회적·정치적 발언을 장신구에 직접적으로 담으며 활동했다. 동시대 한국의 1세대 작가들은 금속공예 기반의 현대장신구에 신체성과 자연의 심상을 담아 은유적인 방식으로 풀어냈다.
먹는 식자재를 장신구로 재탄생시킨 작품도 있다. 공새롬 작가는 쌀에 에나멜페인트 등을 입혀 정교한 브로치, 목걸이로 만들어냈다. 베른하르트 슈팀플 아벨레는 빵 반죽, 레몬, 사과, 감자 등과 같은 유기적 재료로 작업했다. 이렇게 탄생한 ‘과일 폭발’은 새카맣게 타버린 사과의 단면을 연상케 한다.
이윤정 (younsim2@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일본해'에서 석유를?"...'140억 배럴' 가능성에 日 딴죽
- “얼굴만 80차례 찔렀다” PC방 살인 김성수는 왜 [그해 오늘]
- [단독]"날 보며"…남자 화장실서 음란행위 하던 20대 男 검거
- 하이브가 이사회 장악했는데…민희진 대표는 ‘파리목숨’ 아닌가요?[궁즉답]
- 남편이 애들 때렸다더니…티아라 출신 아름, '아동학대' 혐의로 송치
- 맥주 9t이 도로에 '와르르'… 울산서 '하루 두 번' 무슨 일?
- "목줄 안 한 개 피하려다" 자전거 운전자 숨져...견주 처벌은?
- "소름돋아 도저히 얼굴 못 봐"...'밀양 성폭행범' 일한 식당의 변
- 美제조업 두달째 위축…물가압력도 둔화됐다
- 앨범 또 사라고? 빅히트, 진 전역 행사 논란에 응모 기준 변경[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