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과 놀자/풀어쓰는 한자성어]刻舟求劍(각주구검) (새길 각, 배 주, 구할 구, 칼 검)

한상조 전 청담고 교사 2024. 6. 3. 22: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 유래: 여씨춘추(呂氏春秋)의 찰금편(察今篇)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초나라 군사가 송(宋)나라를 기습하기 위해 미리 사람을 보내 옹수(澭水)의 옅은 여울에 표시를 해두었다. 그런데 갑자기 물이 불어난 것을 모르는 초나라 군사는 표시해 둔 것만 보고 밤중에 물을 건너다가 그만 1000여 명의 익사자를 냈고, 그 바람에 군사들은 놀라 본진을 허물고 퇴각하였다. 물이 불어났는데도 앞서 한 표시만을 보고 건너려 했기 때문에 실패를 한 것이다.' 두 이야기는 시대와 환경이 바뀌었다면 고정된 사고방식으로는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깨우치고 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유래: 여씨춘추(呂氏春秋)의 찰금편(察今篇)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초(楚)나라에 강을 건너는 사람이 있었다. 칼이 배에서 물속으로 떨어지니 그는 급히 뱃전에 칼자국을 내어 표시를 하면서 말하길 “여기가 내 칼이 떨어진 곳이다”. 배가 멈추자 칼자국이 있는 뱃전 밑 물속으로 뛰어들어 칼을 찾았다. 배는 움직였고 칼은 움직이지 않았는데 이처럼 칼을 찾으니 어찌 의아하지 않겠는가? 옛 법을 가지고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이와 마찬가지이다. 시대는 지나갔지만 그 법은 변하지 않았으니 이로써 나라를 다스린다면 어찌 어렵지 않겠는가?’라고 한 데서 유래하였습니다.

● 생각거리: 찰금편에 이런 이야기도 있습니다. ‘초나라 군사가 송(宋)나라를 기습하기 위해 미리 사람을 보내 옹수(澭水)의 옅은 여울에 표시를 해두었다. 그런데 갑자기 물이 불어난 것을 모르는 초나라 군사는 표시해 둔 것만 보고 밤중에 물을 건너다가 그만 1000여 명의 익사자를 냈고, 그 바람에 군사들은 놀라 본진을 허물고 퇴각하였다. 물이 불어났는데도 앞서 한 표시만을 보고 건너려 했기 때문에 실패를 한 것이다.’ 두 이야기는 시대와 환경이 바뀌었다면 고정된 사고방식으로는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깨우치고 있습니다. 세상이 변하고 시대가 바뀌면 법과 제도도 함께 바뀌어야 합니다. 고정된 관념에 사로잡히지 않고 항상 열린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지혜를 ‘각주구검(刻舟求劍)’에서 배울 수 있습니다.

한상조 전 청담고 교사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