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 제주 버스준공영제 도입 7년…풀어야 할 과제는?
[KBS 제주] [앵커]
제주에서 버스준공영제가 시행된지 7년이 됐습니다.
막대한 예산을 들인 버스준공영제 시행으로 과연 시민의 발인 버스운송서비스 품질이 좋아졌나 하는 물음에 선뜻 긍정적인 답변이 나오지 않죠.
이 때문에 최근 버스준공영제 개선 움직임도 이어지고 있는데요,
이 시간에 짚어보겠습니다.
손상훈 제주연구원 연구위원 자리했습니다.
어서오세요.
앞서 말씀드렸지만 제주에 버스 준공영제가 도입된지 7년이 지났습니다.
제주의 대중교통 성적을 매겨 보신다면?
[앵커]
지난달 30일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에서 버스준공영제를 주제로 토론회를 마련했죠.
어떤 문제점들이 제기됐습니까?
[앵커]
버스 준공영제 시행 이후 여러 비판의 지점이 있는데요,
먼저 수송분담률입니다.
7년 전 14%대였던 분담률이 코로나19 상황을 겪으며 더 하락했는데요.
막대한 재정부담에도 수송분담률이 낮은 이유는 무엇이라고 보세요?
[앵커]
대중교통이 편리해야 이용자가 늘겠지만, 반대로 승용차 이용이 불편하고 비용 부담이 커야 대중교통 이용이 늘어나는 측면이 있죠.
대중교통과 도로, 주차장 정책 등이 유기적으로 맞물려야 하는데 지역 상황이 그렇지 못합니다.
이 부분 어떻게 보고 계세요?
[앵커]
버스 서비스 품질도 기대 이하라는 불만이 많습니다.
제주도 통계를 보면 2020년 355건이었던 버스 운행과 관련된 불만 민원이 지난해에는 6백 건을 훌쩍 넘었는데요.
왜 서비스가 나아지지 않을까요?
[앵커]
버스 준공영제로 서비스는 나아지지 않는데, 재정 투입만 많다는 불만에 제주도가 버스 감차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달부터는 현금 없는 버스도 도입되는데, 비용 절감에 효과가 있을까요?
[앵커]
지난해 제주도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제주도민들은 대중교통 개선을 위한 정책으로 노선 증설을 1위로 꼽았습니다.
더 다양한 노선이 있어야 편리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건데, 제주도의 버스 감차 정책과 배치되는 대목이죠?
[앵커]
도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버스 준공영제 개선을 위해 실효성 있는 정책 몇 가지를 제시해 주신다면?
[앵커]
운영은 민간에서 하고, 행정에서는 비용을 지원하는 준공영제 대신 시민단체 등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공공 영역에서 버스 운영까지 도맡는 완전공영제 도입은 어떻게 보고 계세요?
[앵커]
제주도정에서 수소트램을 추진하고 있죠.
최근 추경예산에도 용역비가 반영됐는데 대중교통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까요?
중복 투자 우려는 없나요?
[앵커]
앞으로 대중교통 버스가 좀 더 도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시민의 발이 되길 기대해보겠습니다.
오늘 출연 감사합니다.
KBS 지역국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올여름 ‘엘니뇨’ 가고 ‘라니냐’ 가능성, 우리나라 영향은?
- “오늘도 1명이 퇴사했습니다”…떠나는 학교급식 노동자들
- [단독] ‘중국산’ 업체가 해군 무인기도 낙찰…조사 지연 땐 납품
- “전공의 사직서 수리 금지명령 철회 검토”…“책임 전가” 비판도
- 동해 140억 배럴 석유·가스 매장…경제적 효과는
- “주유소에서 넣었는데 차량 결함”…가짜 경유 580억 어치 유통
- 휴일 대낮 도로 ‘만취 역주행’…시민이 잡았다
- “때리고 밀치고”…요양보호사, 치매 노인 폭행 [지금뉴스]
- 멕시코 헌정 200년 첫 여성 대통령 탄생…유혈 사태 얼룩진 선거
- 역대급 판결 받은 최태원 “심려 끼쳐 죄송…판결은 유감” [지금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