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시행사 자본요건, 용도·단계별 세분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동산 경기가 악화하고 국내 시행사가 과도한 레버리징(차입)을 일으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연이어 발생하는 가운데, 시행사 자본요건을 PF 사업장별 리스크에 따라 세분화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자기자본 없이 PF 사업을 시작하는 관행을 끊어내고, 사업장 리스크에 따라 시행사의 자기자본 책임부담을 단계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경기가 악화하고 국내 시행사가 과도한 레버리징(차입)을 일으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연이어 발생하는 가운데, 시행사 자본요건을 PF 사업장별 리스크에 따라 세분화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자기자본 없이 PF 사업을 시작하는 관행을 끊어내고, 사업장 리스크에 따라 시행사의 자기자본 책임부담을 단계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3일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로부터 입수한 ‘부동산 PF 현황 분석 및 제도 개선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캠코는 최근 선진국형 PF로의 전환을 골자로 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해당 보고서는 신현한 연세대 경영학과 교수와 한정석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 이강산 캠코연구소 차장이 협업 조사·연구한 보고서다.
보고서는 국내 PF 시장을 선진화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시공사 의존도를 완화하고, 시행사의 자본요건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부동산PF 시행사의 경우 총사업비의 5~10%만의 자기자본을 투입하고 본PF 자금으로 토지 매입자금을 상환하고 분양대금 등 높은 레버리지로 충당하는 경향이 있다. 해외에 비해 레버리지 규모는 수배에 달한다는 분석이다.
반면, 미국은 시행사가 채무책임 조합원(GP), 투자자가 자금위탁투자자(LP) 역할을 하는 유한책임회사를 구성하고 총 사업비 20~30%의 자본금을 마련한 뒤 별도의 투자자금을 유치해 토지 매입자금을 상환하고 건설자금만 조달한다는 차이가 있다.
이에 보고서는 시행사 자본요건을 PF 세부리스크에 따른 실질 위험을 고려해 세분화하고 시행사의 자기 자본 확대 등 책임부담을 단계적으로 강화하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예컨대 프로젝트를 브릿지론·본PF 등 단계별로 나누거나, 주거용·비주거용 등 용도별, 또는 수도권·지방 등 지역별로 나눠 실질 위험을 세분화하고 시행사의 자기 자본 확대 등 책임부담을 단계적으로 강화하는 제도개선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홍승희 기자
hss@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강형욱, 욕한 적 없어. ‘업계 최고 대우’ 해줘”…보듬 前직원, ‘갑질’ 논란 반박
- “라덕연은 종교” 임창정 불기소에…‘SG하한가’ 개미들 “책임은 누가 지나” [투자360]
- "밀양 성폭행 옹호 경찰 여기 있나요?"…난리난 경찰서 홈페이지
- ‘93세’ 언론 재벌 머독, 5번째 결혼…상대는 26세 연하 과학자
- ‘최태원 동거녀 절친’ 유태오 아내 니키리 “내 비방댓글 어리둥절”
- “천재적인 재능 아깝다.100억 기부”…김호중 두둔 청원 ‘논란’
- "피로감 드려 죄송. 추스를 시간 필요"…선우은숙 끝내 눈물
- 설마했는데…“1위→꼴찌 추락” 발칵 뒤집힌 ‘엔터 명가’…결국
- 최화정·김창완, 태영 때문에 잘렸다?…최화정 "잘린 거 아냐"
- “1000원이면 삽니다” 한소희 손에 뜻밖에 ‘제품’…초유의 대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