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 "PF 시행사 자본요건, 용도별로 세분화해야"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파트 단지 전경 (연합뉴스 자료사진)]
정부가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행사 자본요건을 용도별·단계별 리스크에 따라 세분화·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습니다.
3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따르면 캠코연구원 금융자산연구팀이 최근 발간한 보고서 '부동산 PF 현황 분석 및 제도 개선 연구'에는 시장 활성화 및 선진국형 PF로의 전환을 골자로 하는 제도 개선 방안이 담겼습니다.
신현한 연세대 경영학과 교수와 한정석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 이강산 캠코연구소 차장이 협업 조사·연구한 보고서입니다.
우선 근본적인 PF 시장 체질 개선을 위해 시행사 자본요건을 PF 세부 리스크에 따른 실질 위험을 고려해 세분화하고 시행사의 책임 부담을 단계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예를 들어 단계별(브릿지론·본PF), 용도별(주거용·비주거용), 지역별(수도권·지방) 리스크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감안한 시행사 자본요건을 현실화·구체화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현재 한국 PF 시행사는 총사업비의 5~10%의 자기자본을 투입하고 본PF 자금으로 토지 매입자금을 상환합니다. 본PF 자금은 입주자들이 주택담보대출로 마련한 돈으로 갚습니다.
이에 비해 미국은 시행사가 GP(업무집행조합원) 역할, 투자자가 LP(유한책임조합원)로 참여하는 유한책임회사를 구성해 총사업비의 20~30%를 마련합니다. 이후 별도의 투자자금을 유치해 토지 매입자금을 상환하고 건설자금만 조달하는 차이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보고서는 "중장기적으로는 PF 사업성 평가를 정밀화함으로써 시공사의 신용도 대신에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 자체의 미래 현금 흐름을 담보로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 금융당국은 현재 PF 시장 연착륙에 집중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시행사 자본요건 개선 등을 포함한 제도 개선에도 나설 방침입니다.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동네잔치 전락…세계 5대 제네바모터쇼 119년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 벌써 대선불복 소송준비?…트럼프, 선거감시원·변호사 늘린다
- "대한항공, 보잉 항공기 30대 구매 발주 검토"
- 벌써 차세대 모델을?…엔비디아, AI GPU '루빈' 첫공개·2026년 출시
- 日서 4천200억원 규모 비트코인 부정유출
- 인천공항에도 북한 오물 풍선…주말 동안 운항 차질
- '몸값 5조' 네이버웹툰, 美 나스닥 상장 나섰다
- 나스닥 상장 노리는 야놀자, 美에 100% 출자 현지법인 설립
- '테슬라, 머스크에 77조원 보상안' 투표에 ISS 등 반대 권고
- OPEC+, 원유 감산 200만배럴 내년 말까지 유지 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