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제 주사 '혁신'…5분이면 투약 완료

이영애 2024. 6. 2. 18: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31일 미국 시카고 매코믹플레이스컨벤션센터에서 개막한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메인홀에 세계 제약·의료계 관계자들이 몰려들었다.

2년 전 ASCO에서 기립박수를 받은 다이이찌산쿄의 항체약물접합체(ADC) 엔허투의 뒤를 이을 차세대 ADC 후보물질의 임상 발표도 잇달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장 르포
세계 최대 암학회 'ASCO'
J&J 피하주사 제형 '리브리반트'
5시간 정맥주사보다 약효 좋아
차세대 ADC 항암제도 인기
AI 기반 신약 개발 논의도 활발
지난달 31일 미국 시카고에서 닷새 일정으로 개막한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참석자들이 전시 부스 등을 둘러보고 있다. 세계 제약·바이오 관계자 4만여 명이 참가했다. 이영애 기자


지난달 31일 미국 시카고 매코믹플레이스컨벤션센터에서 개막한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메인홀에 세계 제약·의료계 관계자들이 몰려들었다. 300여 석이 꽉 찼고 홀 바깥은 모니터를 보며 발표를 들으려는 사람으로 북적거렸다. 존슨앤드존슨과 유한양행의 임상 발표를 듣기 위해서였다. 두 회사는 항암제를 정맥주사(IV)에서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바꿔 투약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박수를 받았다.

 항암제 투약 시간 5시간→5분

4일까지 열리는 세계 최대 암학회인 ‘ASCO 2024’를 첫날부터 뜨겁게 달군 곳은 존슨앤드존슨과 유한양행이었다. 두 회사는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오는 8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앞둔 렉라자와 리브리반트의 병용 임상 결과 다섯 건을 공개했다. 렉라자는 유한양행이, 리브리반트는 존슨앤드존슨이 개발했다.

가장 주목받은 임상은 정맥주사 제형인 리브리반트를 피하주사 제형으로 변경한 임상이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렉라자와 리브리반트 IV제형의 생존율은 51%였는데, 렉라자와 리브리반트 SC제형은 65%까지 올라갔다. 부작용도 적었다. SC제형에서 주입관련반응(IRR) 부작용이 나타난 비율은 13%로 IV제형(66%)의 5분의 1에 그쳤다. 임상 결과를 발표한 나타샤 레이갈 프린세스마거릿암센터 임상조사관은 “항암제 투약 시간을 최대 5시간에서 5분 미만으로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약효는 더 좋아졌다”고 했다. 현장에서는 SC제형 면역항암제가 글로벌 대세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올해 초 로슈의 면역항암제 티센트릭이 SC제형으로 FDA 허가를 받았고 BMS와 미국 머크(MSD) 등도 SC제형 면역항암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ADC 인기는 ‘여전’

2년 전 ASCO에서 기립박수를 받은 다이이찌산쿄의 항체약물접합체(ADC) 엔허투의 뒤를 이을 차세대 ADC 후보물질의 임상 발표도 잇달았다.

다이이찌산쿄는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Dato-DXd)을 투여했더니 질병통제율이 75%, 치료 효과를 보인 비율인 객관적 반응률(ORR)은 28%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은 ADC 선두주자인 다이이찌산쿄가 개발 중인 차세대 ADC다.

엔허투의 강력한 경쟁자로 여겨지던 길리어드사이언스의 트로델비는 연이은 임상 실패로 난관에 봉착했다. 길리어드는 이번 행사에서 방광암에 이어 비소세포폐암에서도 화학요법 대비 트로델비의 이점을 증명하지 못했다는 임상 결과를 공유했다.

 “AI가 신약 개발 성공률 높일 것”

개막 둘째날인 1일에는 의료 진단 및 신약 연구에 인공지능(AI)을 활용하기 위한 세션이 열렸다. 챗GPT 등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성에 관심이 쏠렸다. 조너선 칼슨 마이크로소프트(MS) 미래헬스케어담당 상무는 “의학 분야에 GPT4를 활용한 논문 성과는 1800건 이상”이라며 “이번 ASCO에서도 AI를 주제로 145건의 초록이 발표됐다”고 했다.

신약 개발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칼슨 상무는 “임상 단계에서 얻은 조직학 데이터를 이미지 자체로 인식해 정보화함으로써 신약 개발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며 “단백질을 구성하는 20여 개 아미노산을 마치 알파벳처럼 인식해 단백질 3차원 구조를 예측하는 데도 활용 가능하다”고 했다.

시카고=이영애 기자 0ae@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